더불어민주당 새 원내대표에 박홍근(3선·서울 중랑구을) 의원이 24일 선출됐다. 박 신임 원내대표는 172석의 원내 사령탑 역할을 맡게 됐다.
박 원내대표는 윤석열 당선인이 대통령에 취임하는 5월10일 이후에는 거대 야당 원내대표가 된다. 박 원내대표가 윤석열정부와 국민의힘에 대해 어떤 전략을 펼칠지 관심이 집중되는 상황이다.
특히 이재명 전 경기지사의 ‘신측근’으로 꼽히는 박 의원이 원내대표에 선출되면서 대선 이후 신주류로 떠오른 이재명계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박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표 경선에서 박광온(3선·경기 수원시정) 의원과의 결선 투표 끝에 원내대표에 당선됐다. 후보별 득표수는 공개되지 않았다.
민주당은 계파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번 경선을 콘클라베(교황 선출 방식) 형식으로 진행했다.
이에 따라 입후보 없이 진행된 1차 투표에서 득표율 10%를 넘긴 박홍근 의원, 박광온 의원, 이원욱(3선·경기 화성시을) 의원, 최강욱 의원(초선·비례대표)이 2차 투표에 진출했다. 이어진 2차 투표에서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으면서 득표수 1·2위를 기록한 박홍근 의원과 박광온 의원이 3차 결선 투표를 진행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재명계와 86그룹(80년대 학번, 60년대생) 의원들과 개혁 성향의 초재선 의원들의 지지를 두루 받은 것으로 보인다.
박 원내대표는 박원순계 인사였지만 이번 대선에서 이 전 지사의 비서실장을 맡으면서 이재명계로 분류되기 시작했다.
이번 민주당 원내대표 경선은 이낙연계를 대표하는 박광온 의원과 이재명계로 새로 떠오른 박홍근 의원의 계파 대리전 구도였다.
이 때문에 이번 대선 경선에서 ‘명낙(이재명·이낙연) 대전’ 2차전을 보는 것 같다는 평가도 나왔다.
당 일각에서는 기존 주류 세력인 친문 그룹과 대선 국면에서 신주류로 떠오른 이재명계의 파워게임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민주당 일부 강성 지지층이 의원들에게 돌린 문자폭탄도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주로 이 전 지사 지지자들이 경선을 앞두고 ‘박홍근 의원을 찍으라’는 문자를 대대적으로 살포했다. 의원들 사이에서는 ‘박 의원을 안 찍었다간 피곤해질 것 같다’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이 때문에 박 원내대표가 정견 발표에서 “선거를 앞두고 문자메시지 대량 발송으로 불편을 드려 송구하다”고 사과하기까지 했다.
박 원내대표는 정견 발표에서 “(‘윤석열 정부’에 맞서) 총칼을 맞더라도 앞장서서 넘어가겠다. ‘강한 민주당’을 만드는 데 모든 것을 바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새 정부와 ‘여가부 폐지’ ‘대통령 집무실 이전’ 문제 등을 두고 긴장 관계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박 원내대표는 당선자 수락 연설에서 “민주당 의원들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이번 경선이 계파 대리전 형태로 치러진 만큼 계파 간 앙금이 남을 여지도 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