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SK의 전국경제인연합회 재가입에 대해 가능성을 열어놨다. SK그룹 회장이기도 한 최 회장은 23일 대한상의 기자단과 간담회에서 “경제단체는 다 같은 식구라고 생각한다. 여건이 되면 (재가입을) 고려할 수도 있는 거 같다”고 말했다. 단 최 회장은 “여건이라는 게 여러가지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 지금은 여건이 하나도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라고 본다. 아직은 가입할 계획이 없다”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지난해부터 전경련을 포함해 모든 경제단체와 협조하고 있다. 경제단체끼리도 힘을 합하고 으쌰으쌰를 잘해야 할 때다. 지난해만 해도 거의 한 달에 한 번식 경제단체장들과 만났다. 얘기하고 도울 거 있으면 같이 돕고 있다”고 말했다.
새 정부의 경제 정책에 대해서는 “민관 협업을 강조한다. 민관위원회를 설치해서 실제 얘기를 한다고 하니, 민간 입장에서 보면 롤체인지가 온 거 같다. 과거에는 정부가 정책을 정하고 중간에 의견을 수렴하는 형식이었지만, 이젠 정책을 공동으로 하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규제 개혁 방향이 포지티브 방식에서 네거티브 방식으로 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탄소중립 관련 규제는 대부분 ‘하지 말라’과 돼 있고 ‘하면 벌금을 낸다’ 형태로 돼 있다. 제 생각에 탄소를 자발적으로 많이 줄이는 쪽에 뭔가를 준다고 생각하면 탄소를 줄일 확률이 더 커질 것이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규제 개혁은 그 규제가 목표로 하고 있었던 게 무엇이냐, 그 목표가 지금 현실에 부합하느냐를 판단한 후, 필요하면 해당 규제를 바꿀 새로운 방법을 찾는 것이다”면서 “정부만 설득해서 될 게 아니고, 국회에서도 세팅해 줘야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산업부로 통상 부문을 이관하는 것에 대해서는 “정부를 구성하는 쪽에서 판단할 문제”라면서도 “기업 입장에서는 기업을 얼마만큼 이해하는 쪽이 통상을 하느냐 그렇지 않느냐의 차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공급망 문제가 장기화하는 것에 대해서 최 회장은 “전에는 무역 자유화로 전 세계 글로벌 경제가 한 틀로 묶여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헤게모니 싸움이라고 본다. 니편 내편 가리는 국제 질서로 가는데, 우리도 거기에 맞춰서 적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최 회장은 “경제 문제가 경제에 국한하지 않고 안보의 문제도 같이 발생하고 있다. 우리가 쓸 수 있는 카드를 많이 만들어서 다른 국가와 협상을 할 때 어떠한 전략을 고려해야 하는지 이런 수준까지 발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