뿔난 前 합참의장들 “文정부, 애국충정 악용…尹에 협조”

입력 2022-03-24 04:44 수정 2022-03-24 10:01
국방부 청사 모습. 연합뉴스

“정치적 목적으로 악용하는 사태를 개탄한다. 우린 윤석열 당선인에 협조하겠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용산 집무실 이전’에 우려를 표했던 조영길 전 합참의장(국방부 장관 역임) 등 역대 합참의장 11명이 23일 여권을 겨냥해 이같이 비판하고 나섰다. 앞선 입장은 안보공백이 혹시나 생길까 하는 우려를 표한 것일 뿐, 반대는 아니었다는 취지였다. 이들은 오히려 문재인정부를 겨냥해 “안보공백을 논할 일체의 자격이 없다”며 윤 당선인 지원 사격에 나섰다.

역대 합참의장 11명은 이날 윤 당선인의 용산 집무실 이전에 대해 “안보태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가운데 이상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입장문을 청와대 이전TF 부팀장인 김용현 전 합참 작전본부장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전달했다.

앞서 이들은 지난 19일 윤 당선인 측에 청와대의 용산 이전으로 안보공백이 우려된다면서 신중히 추진해줄 것을 요청하는 내용의 입장문을 전달했다.

이들은 앞선 입장문에 대해 “윤석열 새 정부가 문재인 대통령과 집권세력의 지난 5년간 ‘안보 실정(失政)’을 바로 잡고 정권 교체기 국가안보에 한 치의 오차도 없도록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국가안보 전문가 입장에서 제시한 애국충정의 발로였다”며 윤 당선인에 대한 반대나 항의 성격이 아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럼에도 문재인정부와 여당이 이를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대한 반대로 왜곡해 국민을 갈라치기 하는 양상의 정치적 목적으로 악용하는 작금의 사태를 개탄하며 즉각 중단할 것을 엄중 경고하는 동시에 이런 작태가 지속될 경우 강력히 대응해나갈 것”이라고 성토했다.

또한 이들은 “북한의 수차례에 걸친 미사일 발사 등 도발에 대한 무대응, 한·미 연합훈련 축소·폐지, 북한군에 의한 서해상 공무원 피살 만행 외면 등 ‘안보 무능’과 대북 구걸 외교로 일관한 현 정부는 ‘안보공백’을 논할 일체의 자격이 없다”며 오히려 현 정부에 날을 세웠다.

예비역 장성 1000여명도 “안보공백 없다”
이상훈 전 국방부 장관 등 예비역 장성 1000여명도 이날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이전으로 인한 안보공백은 없다”는 입장문을 내고 사실상 윤 당선인 지원에 합류했다.

이들은 “평시 군사대비태세를 책임지는 합참은 대통령 집무실이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더라도 현 위치에서 그대로 임무를 수행한다”며 “지휘통제체계를 변함없이 유지하면서 작전준비태세를 갖추게 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들은 “안보를 도외시하던 이번 정부가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과정에서 안보공백이 없음에도 안보공백을 운운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현 정부는 안보공백을 빌미로 국민과 군을 분열시키는 행위를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 남은 임기 동안 북한 도발에 대한 군사대비태세를 확고히 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이 입장문은 ‘전직 국방장관, 합참의장, 참모총장 등 대장 64명 포함 육·해·공·해병대 예비역 장성 1000여명’ 명의로 나왔다. 이 전 장관과 권영해 전 국방장관, 최차규 전 공군참모총장, 김재창 전 연합사 부사령관, 심승섭 전 해군참모총장 등 26명이 실명을 연명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