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훈 전 국방부 장관 등 예비역 장성들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추진하는 집무실 용산 이전에 대해 “일시적인 불편함은 있을 수 있지만 안보 공백은 없다”는 취지의 입장문을 냈다. 앞서 전직 합동참모본부(합참) 의장 11명이 “(집무실 이전은) 국방부와 합참의 연쇄 이동을 초래해 안보 공백이 우려된다”고 의견을 낸 것과 정반대다. 윤 당선인의 집무실 이전 추진에 대한 예비역 장성들의 의견도 두 쪽으로 갈리는 모양새다.
이 전 장관 등 예비역 장성들은 23일 ‘전직 국방장관, 합참의장, 참모총장 등 대장 64명 포함 육·해·공·해병대 예비역 장성 1000여명’ 명의로 입장문을 냈다. 입장문에는 이 전 장관과 권영해 전 국방부 장관, 최차규 전 공군참모총장 등 26명의 실명만 실렸다.
이들은 입장문에서 “이전 과정에서 일시적인 불편함은 있을 수 있지만 안보 공백은 없다”며 “평시 군사대비태세를 책임지는 합참은 대통령 집무실이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더라도 현 위치에서 그대로 임무를 수행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방부 지역은 방호력이 큰 지하시설이 준비되어 있다”며 “현 청와대 위기관리센터보다 안전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안보를 도외시하던 이번 정부가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과정에서 안보 공백이 없음에도 안보 공백을 운운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국민과 군을 분열시키는 행위를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현 정부를 비판했다.
앞서 전직 합참의장 11명은 지난 20일 ‘청와대 집무실 국방부 이전, 안보 공백이 우려된다’는 제목의 입장문으로 정반대 의견을 냈다.
김종환 전 의장(예비역 육군 대장) 등 11명의 전직 의장들은 해당 입장문에서 “청와대 집무실의 국방부 청사 이전은 국방부와 합참의 연쇄 이동을 초래해 정권 이양기의 안보 공백을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대통령 집무실은 국가지휘부이자 상징이며 국가안보 관련 최후의 보루로서 그 이전은 국가의 중대사”라면서 “짧은 시간 내 속전속결로 밀어붙여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특히 정권 이양기에 맞춰 북한이 잇따라 미사일을 발사하고 핵실험 준비 동향을 보이는 등 안보 취약기 군의 신속 대응에 대혼란이 우려된다”며 “청와대 집무실로 국방부 청사를 사용한다면 적에게 우리 정부와 군 지휘부를 동시에 타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목표가 된다”고 우려를 표했다.
안명진 기자 a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