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이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회동을 위한 실무 협의 과정에 대해 언급하면서 “사면 문제에 대해서는 서로 간의 이견이 없는 것 같다”고 23일 말했다. 그는 회동 결렬의 원인으로 꼽혔던 인사권 문제도 조율이 이뤄졌다고 했다. 다만 대통령 집무실 이전 문제와 예비비 지출 건에 대해서는 아직 입장 차이가 크다고 밝혔다.
권 의원은 23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대통령과 당선인이 만나는데 얼굴 붉히고 헤어지면 타격 아니겠냐”며 “지금 중요한 부분에 대한 합의가 안 됐다”고 말했다.
그는 “청와대 이전, 예비비 지출에 대해서는 제대로 조율이 안 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사면 문제에 대해서는 서로 간 이견이 없는 것 같고, 인사권 문제도 어느 정도 조율된 것으로 저는 알고 있다”고 했다.
이에 진행자 김현정씨는 ‘사면 문제에 이견이 없는 상태라고 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 김경수 전 경남지사 사면까지도 합의된 것이냐’고 파고들었다.
그러자 권 의원은 “그렇게 구체적으로 된 건 아니다”고 한발 물러서면서도 “청와대도 MB(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 요청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이어 “그러면 결국 김경수 전 지사나 이번 지방선거에 출마할 민주당의 중요 인사, 선거법 위반 등으로 제한된 인사에 대한 사면이 이루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이 전 대통령 사면과 더불어 김 전 지사 등 민주당 측 인사의 사면이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대통령과 당선인이 조속히 만나야 하지 않느냐’는 지적에 권 의원은 “주요 부분에 대해 합의가 안 된다면 굳이 만날 이유가 없다”며 완강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역사상 물러나는 정부가 새로 출범하는 정부의 첫 번째 일에 이렇게 딴지를 건 적이 없다”며 “(당선인 입장에서) 부담스럽지만 원인 제공을 누가 했나. 저희가 한 게 아니지 않나”라고 반발했다.
권 의원은 “우리는 만나려고 노력했다”며 책임을 청와대로 돌렸다. 그는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을 통해 협조해 달라고 간곡하게 요청했고, 처음에는 들어줄 듯했으나 갑자기 오후에 기류가 바뀌었다”며 “추측하기에는 이 대선에 승복 못 하는 민주당 강경파들의 정치적으로 이용하자, 새 정부의 힘을 빼자는 주장이 청와대에서 수용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청와대 이전은 문 대통령이 두 번이나 공약했던 사항인데 실천을 못 했다. 청와대 들어가보니까 너무 좋아서 권력의 달콤함에 포기를 했었던 것”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이에 진행자가 “경호 문제 때문 아니냐”고 지적하자 권 의원은 “경호 문제도 있지만 막상 들어가 보면 청와대만큼 좋은 데가 없다”며 “순전히 반대를 위한 반대”라고 말했다.
권 의원은 김부겸 국무총리가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를 만들자고 역제안한 것을 두고는 “결국 윤 당선인의 공약을 무산 내지 지연시키기 위한 술책이라고 본다”고 거부감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질질 끌어서 결국 출범일까지 안 해주겠다는 거 아니냐”며 “차라리 우리는 우리가 출범한 후 우리 결정으로 모든 것을 하겠다”고 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