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집무실 이전 결심, 최순실-세월호 수사 경험 때문”

입력 2022-03-23 07:57 수정 2022-03-23 09:57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결심한 배경에는 검찰 재직 시절 청와대 내부의 대통령 보고체계 전반을 직접 수사한 경험이 영향을 끼쳤다는 전언이 나왔다.

윤 당선인의 핵심 관계자는 22일 동아일보에 “윤 당선인은 과거 국정농단 특검 수사팀장으로 파견돼 최순실(개명 후 최서원)씨 관련 의혹, 세월호 참사 당일 박근혜 전 대통령의 7시간 행적 등을 수사하며 청와대 내부 보고체계 전반을 일일이 따져본 경험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른바 ‘문고리 3인방’ 논란을 비롯해 비서관, 부속실 등 청와대 내 층층 보고체계를 거치며 보고가 지연되거나 왜곡되는 과정도 직접 확인했다”며 “청와대를 나오겠다는 윤 당선인의 결심에는 이 같은 경험이 일정 부분 영향을 끼친 게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한 법조계 관계자도 “청와대 압수수색은 베테랑 검사들도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이례적인 일인데 윤 당선인은 3번을 했다”며 “그때 받은 청와대에 대한 인식이 집무실 이전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론에 전했다.

윤 당선인은 검사로 일할 때 직간접으로 청와대를 3번 압수수색했다. ‘박영수 특검’ 수사4팀장으로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 사건을 수사한 2017년 2월 3일이 처음이었다. 검찰총장이 된 뒤에는 2019년 12월 4일 서울동부지검이 유재수 전 부산시경제부시장에 대해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감찰을 무마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대통령비서실을 압수수색했고, 2020년 1월 10일에는 청와대의 울산시장 선거개입 의혹을 수사하던 서울중앙지검이 청와대 자치발전비서관실 압수수색에 나섰다.

한편, 윤 당선인은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이전’ 계획에 대해 청와대가 제동을 건 것과 관련해 “만약 (현 정부와) 협의가 안 될 경우 나의 불편은 생각지 말라”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22일 김용현 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에 따르면 윤 당선인은 “현 정부가 협조하지 않으면 이거는 어려운 문제다. 그러나 앞으로 협상의 여지는 있으니 협의를 계속해 나갈 수 있도록 하라. 국민께 드리는 약속은 지켜야 한다. 청와대에 안 들어가겠다. 그러니 청와대 개방은 계획대로 하라”고 했다.

윤 당선인은 또 “내 개인으로는 청와대에 들어가면 굉장히 편하다. 누가 보는 사람도 없으니까 국민 눈치 안 보고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다”며 “대통령 집무실 이전이 늦어져서 내가 불편한 것은 감수할 수 있다. 그런데 국민과 약속을 어기는 것은 내가 감수하기 어렵다”고도 언급했다고 한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