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靑 역겹다’ 논란에 “솔직 표현… 과했다면 유감”

입력 2022-03-23 07:22 수정 2022-03-23 10:09
김용현 전 합참 작전본부장이 지난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열린 대통령실 용산 이전 기자회견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김용현 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이 청와대를 겨냥해 “굉장히 역겹다”고 했던 발언에 대해 22일 “발목 잡는 느낌이 들어서 솔직히 표현을 한 것인데, 과했다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전 본부장은 이날 저녁 JTBC뉴스룸과 인터뷰에서 ‘청와대를 향한 격앙된 표현이란 비판이 나왔는데 어떻게 받아들이냐’는 질문에 “과했다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지난 5년간 문재인정부에서 북한이 미사일 도발을 40회 했다. 그럼에도 도발을 도발이라고 한 번도 말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김 전 본부장은 같은 날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청와대를 겨냥해 “북한이 수십 차례 도발할 때도 어떤 대응도 내놓지 않더니 있지도 않은 방사포를 쐈다고 NSC를 소집하고 안보 공백이라 한다”며 “굉장히 역겹다”고 날을 세웠다.

“도발, 한 번도 말하지 못했다”… 사실과 차이
김 전 본부장은 JTBC 인터뷰에서 유감을 표하면서도 “개성공단 남북연락사무소에 국민 혈세 700억원이 들어갔는데, 한순간 무너져내려도 입도 뻥긋 못했다. 9·19 군사합의 가지고 우리 군의 손발을 다 묶었다. 국가 안보에 대한 기반을 뿌리째 흔든 것”이라며 “그런데 이런 정부가 갑자기 안보 공백 얘기를 한다”고 재차 문재인정부에 대한 비판에 나섰다.

현 정부가 안보 공백을 우려할 자격이 없다는 취지의 공세를 계속 이어간 것이다. 김 전 본부장은 앞서 CBS라디오 인터뷰에서도 “이 정부는 한 번도 도발이라는 표현을 안 하지 않았느냐”고 했다.

김 전 본부장의 비판을 두고는 문재인 대통령이 ‘도발’이라는 표현을 한 번도 쓰지 않았다는 건 사실과 다르다는 지적도 나온다.

앞서 문 대통령은 출범 직후인 2017년 7월 북한의 미사일 발사 도발에 대해 “정부는 무책임한 도발을 거듭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북한의 핵 실험에 대해서는 2017년 9월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북한을 겨냥해 “기어이 6차 핵실험과 미사일 도발을 감행함으로써 실망과 분노를 안겼다”고 했다. 다만 현 정부는 2018년 남북 정상회담 등 대화 분위기가 조성된 이후 다시 도발 수위가 높아진 최근까지는 표현의 수위를 조절하는 모습을 보였다.

“합참 청사 비용 1000억 정도” 민주당 공세 반박
김 전 본부장은 ‘용산 집무실 이전’이 청와대의 제동으로 공전하면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당분간 통의동 사무실로 출근한다는 계획에 대해서는 “변함이 없다. 입주 기간에 통의동에서 집무를 할 계획”이라며 “5월 10일 0시부로 정권이 교체되는 순간부터 청와대 전면개방을 통해 국민의 품으로 돌려드리는 건 변함없이 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인수위 측이 청와대 집무실 이전 비용을 약 500억으로 추산한 뒤 다시 합동참모본부 이전 비용은 1200억원 정도라는 추가 입장을 낸 데 대한 지적도 나왔다. 그러자 김 전 본부장은 “국방부 청사로 대통령 집무실이 이전하는 총비용이 491억원인 것”이라며 “이후 합참 청사를 추가로 짓거나 추가 시설을 짓는 건 정권을 인수받고 난 이후에 해야 되기 때문에 나중에 판단해야 한다”고 답했다.

‘합참 이전 예산이 얼마냐’는 질문에는 “민주당에서는 2200억원이 든다고 했는데, 2012년 합참이 설치될 때 기준이었다. 당시 최첨단 C4I시스템과 핵 EMP방어시스템까지 다 들어가서 굉장히 예산이 많이 들어갔다”며 “그런데 (합참이) 남태령으로 가게 되면 C4I시스템이나 핵 방호시설이 필요 없게 된다. 건물만 짓게 되기 때문에 1000억원 내외로 들 것으로 판단된다”며 여권에서 예산을 부풀려 주장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토지 정화, 7년 아닌 10년 걸릴 수도… 간단한 환경평가만”
용산 집무실 근처 조성할 계획인 시민공원의 토지 정화 문제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일각에서는 용산미군부지를 시민공원을 만드는 과정에서 오염된 토지를 정화하는데 7년이 걸린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대해 김 전 본부장은 “7년이 아니라 10년이 걸릴 수도 있다. 그런데 이렇게 하다 보면 공원 조성까지 너무나 많은 시간이 걸려서 기다릴 수가 없다”며 “국방부 청사 주변 지역을 우선 반환받는데 그게 50만 제곱미터”라고 했다.

그러면서 “우선 반환받는 이 지역은 간단하게 환경영향평가를 통해서 인체에 해로운 게 있는지 없는지, 국민이 산책하다 안전에 저해되는 요소(가 없는지) 이런 것들만 체크한다. 이게 5~6개월 걸린다”며 “이것만 마친 다음에 바로 임시 개방이 가능하다”고 답변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