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대선 과정에서 광주지역 ‘핫 이슈’로 떠오른 대형 복합쇼핑몰 유치 기본계획이 조만간 공개된다. 20대와 30대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 소비자들은 복합쇼핑몰 유치를 바라고 있지만, 소상공인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아 향후 공론화 결과가 주목된다.
광주시는 “지난해 12월 출범한 광주대전환 특별위원회가 다음 주 중 중간보고회에서 복합쇼핑몰을 포함한 분야별 과제와 전략을 발표한다”고 22일 밝혔다.
관광 활성화와 ‘그린 스마트 펀 시티’ 구상을 위해 38명의 전문가가 참여해 출범한 특위가 복합쇼핑몰 유치에 관한 기본계획과 방향을 설정해 시민들의 의견수렴 절차를 밟는다는 것이다.
시와 특위는 윤석열 당선인이 대선 과정에서 광주시민들에게 공약한 복합쇼핑몰 유치와 관련, ‘소상공인과 더불어 상생하는 광주형 대형 복합쇼핑몰 입점 추진’으로 가닥을 잡았다.
시와 특위는 매장 면적 5만㎡ 이상의 초대형 복합쇼핑몰이 광주에 들어서면 다른 도시에 비교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지역 소상공인들의 직·간접적 매출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이를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는 방침이다.
실제 광주지역 소상공인 종사자는 전체 사업자 종사자 46만 3000여명의 절반이 넘는 23만 6500여명(51.1%)으로 파악되고 있다. 전국 평균 43.6%에 비해 월등히 높은 비율이다.
시와 특위는 복합쇼핑몰 유치를 위해 2개 유통업체와 접촉하면서 입지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고 있으나 구체적 방안은 여건이 충분히 성숙했을 때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광주 최초의 복합쇼핑몰은 오는 6월 지방선거 이후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한다.
광주에서는 갈 곳과 놀 곳이 없다는 젊은 층의 볼멘소리가 청와대 국민청원 등에 이어지고 지난 대선 과정에서 유치를 둘러싼 여·야 정치권의 책임 논란이 불거지면서 복합쇼핑몰 유치는 지역 현안으로 떠올랐다.
하지만 광주에서는 지난 2015년 시와 신세계가 투자협약까지 맺고 특급호텔·면세점을 포함한 초대형 복합쇼핑몰을 조성하려고 했지만 2년 넘게 갑론을박만 하다가 무산되기도 했다. 결국, 광주시는 광역시 가운데 유일하게 복합쇼핑몰이 없는 도시로 남아 있다.
광주지역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은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이다. 이들은 복합쇼핑몰 유치에 대해 “대기업의 배만 불리는 결과를 가져올 게 명약관화하다“며 ”그동안 지역경제를 든든히 떠받쳐온 골목상권의 붕괴를 불러올 것”이라는 강한 반대입장을 여전히 굽히지 않고 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소상공인과 상생을 전제로 한 광주형 복합쇼핑몰이 바람직하다”며 “소상공인 10만, 종사자 30만, 가족까지 합하면 60만명에 달하는 지역적 특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는 원칙적 입장이다.
그는 “복합쇼핑몰을 찾아온 외지인이 숙박하면서 재래시장도 들르고 공연도 보고 갈 수 있도록 복합쇼핑몰 위치·영업방식 등을 기업 유치 차원에서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