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인공지능(AI) 반도체 분야 특허신청 건수가 미국·중국에 이어 세계 3위를 기록했다.
특허청과 경제추격연구소는 AI 반도체의 산업경쟁력을 심층 분석한 연구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AI 반도체 특허신청은 알파고와 이세돌 九단의 대국 이후 2016~2019년 3배 이상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미국(37%)과 중국(36%)이 전 세계 특허신청을 양분했으며 우리나라는 8%로 3위를 차지했다.
우리나라는 AI 반도체 1·2세대에서 중국 일본 대만과 2위 자리를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는 구도였지만, 차세대 신기술인 3세대 ‘뉴로모픽’에선 일본·대만을 제치고 큰 차이로 2위를 차지했다.
향후 뉴로모픽 기술을 중심으로 미국과 함께 앞서나갈 수 있다는 신호라고 특허청은 분석했다.
세대별 주요 특허신청인은 전 분야에서 인텔 IBM 삼성전자 등 기존 반도체·컴퓨팅 분야 강자가 상위를 차지했다. 뉴로모픽 분야에선 삼성과 SK하이닉스가 각각 2위와 5위를 기록했다.
오철 경제추격연구소 교수는 “급변하는 세계정세 속에서 AI 반도체 특허의 중요성에 더욱 주목해야 한다”며 “기술혁신을 주도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3세대 뉴로모픽 반도체에서 우리기업의 상대적인 약진이 주목된다”고 설명했다.
김지수 특허청 특허심사기획국장은 “AI 반도체는 인공지능·시스템반도체가 융합되는 핵심 전략 분야로 탄소중립 및 디지털 뉴딜의 성공과도 밀접히 연계된 필수 산업”이라며 “이번 분석 결과를 산업계와 공유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