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지난해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 전담기관인 ‘경기도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원스톱 지원센터’를 통해 지원한 피해자 10명 중 8명이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자 지원 대부분은 삭제지원으로 10건 중 8건에 이르렀다.
경기도는 지난해 1년간 ‘경기도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원스톱 지원센터’를 통해 피해자 367명을 대상으로 전문심리상담 지원, 영상 삭제, 법률지원 등 1만1156건을 지원했다고 22일 밝혔다.
피해자 367명 가운데 여성이 295명(80.4%)으로 대부분이다.
이어 남성 60명(16.3%), 미상 12명(3.3%) 순이다.
연령대로는 10대가 161명(43.9%)으로 절반에 가까웠다.
이어 20대 81명(22.1%), 30대 33명(9%), 40대 23명(6.3%), 50대 18명(4.9%) 순이다.
피해자에 대한 지원은 삭제지원이 8819건(79.1%)으로 월등히 높았다.
이어 상담지원 2224건(19.9%), 전문심리상담 및 기타 연계 60건(0.5%), 안심 지지 동반 및 수사 연계 31건(0.3%), 법률지원 22건(0.2%) 등이다.
피해 유형(복수 가능)으로는 ‘유포 불안’(유포 내역은 알 수 없으나 촬영 사실이 있어 불안 호소) 246건(31.7%)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불법 촬영’ 131건(16.9%), 유포·재유포 110건(14.2%), ‘사이버 괴롭힘’ 73건(9.4%), ‘유포 협박’ 62건(8%), ‘온라인 그루밍’(채팅 앱 등에서 신뢰 관계 형성 후 약점을 잡아 이용하는 범죄) 46건(5.9%) 순이다.
가해 유형은 ‘온라인 또는 일회성으로 만난 일시적 관계’ 125명(34.1%)으로 제일 많았다.
이어 ‘학교 및 직장에서 만난 사회적 관계’ 92명(25.1%), ‘전 배우자와 전 연인 등 친밀한 관계’ 62명(16.9%), ‘모르는 사람’ 53건(14.4%) 순이다.
지주연 도 여성가족국장은 “광역단체 최초로 구축한 원스톱 지원센터를 통해 디지털 성범죄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