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소수민족 탄압 중국 관리 비자 제한…“로힝야 사건은 집단학살”

입력 2022-03-22 07:25

미국이 신장 위구르, 티베트 등 종교, 소수민족 인권 탄압에 가담한 중국 당국자들에 대한 비자발급 제한 조치를 가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21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종교 지도자, 소수 민족, 반체제 인사, 인권 운동가, 언론인, 노동조직가, 평화로운 시위자 등을 억압하기 위한 정책이나 행동에 책임이 있거나 관여한 중국 관리들에 대해 비자를 제한한다”고 밝혔다.

블링컨 장관은 또 “신장에서의 대량학살과 반인도적 범죄, 티베트에 대한 억압적 정책, 홍콩에서의 기본적 자유 탄압, 종교 자유 침해 등 중국 전역에서의 인권 침해와 학대를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블링컨 장관은 “미국은 보복 위협에도 불구하고 용감하게 목소리를 낸 이들에게 지지를 재확인한다”며 “중국이든, 미국이든, 다른 곳이든 잔혹 행위와 인권 침해에 책임이 있는 중국 당국자들에게 책임을 묻기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무부는 구체적인 제재 대상은 따로 공개하지 않았다. AP통신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신장, 홍콩, 티베트 인권 침해에 대응해 조처한 비자 제재에 추가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 법무부는 최근 미 연방의원 선거에 출마한 중국 반체제 인사의 당선을 막으려 한 혐의로 전직 중국 국가안본부 소속 첩보원을 기소하기도 했다.

한편 블링컨 장관은 이날 워싱턴DC 홀로코스트 박물관에서 “로힝야족을 향한 (미얀마 군부의) 공격은 광범위하고 체계적이었다”며 “증거들은 인종 청소를 넘어 로힝야족을 실질적으로 말살하려는 분명한 의도를 가리키고 있다”고 비난했다. 로힝야족에 대한 폭력이 집단학살(genocide)과 인륜 범죄에 해당한다고 공식 발표한 것이다.

로힝야족 학살 당시 주범으로 지목된 미얀마군 인사는 지난해 2월 쿠데타를 통해 최고 권력자에 오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이다.

미 국무부는 보스니아, 르완다, 이라크, 수단 다르푸르, 이슬람국가(IS) 학살을 집단학살로 규정했다. 최근에는 중국 신장 위구르족 탄압을 6번째 집단학살로 규정, 중국과 갈등을 빚고 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