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전 국민의힘 총괄선대위원장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용산 집무실 이전’ 방침을 제동하고 나선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적극 협력하는 게 현명하지 않겠느냐”고 21일 말했다.
김 전 위원장은 이날 오후 MBC라디오 ‘표창원의 뉴스하이킥’에서 대통령 집무실 이전 문제에 따른 신구 권력 갈등에 대해 “윤 당선인하고 문 대통령 사이에 아마 만남이 곧 실현되지 않겠느냐”며 “당선인이 현직 대통령을 만나서 얘기하게 되면 풀어질 수 있는 문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차피 지금 선거가 치러져서 새로운 대통령이 탄생을 했다”며 “지금 물러나는 대통령이 다음 새 대통령이 일할 수 있는 것을 만들어주는 데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것이 현명하지 않겠나”고 언급했다.
김 전 위원장은 용산 이전 결정 과정에서 ‘불통’과 ‘안보 공백’ 문제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는 진행자 발언에는 “(윤 당선인이) 충분히 검토하지 않았나(싶다)”며 “아무런 검토 없이 간단하게 결정을 내릴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일단은 당선자가 결심하고 그리 가야 되겠다 하니까 앞으로 어떤 상황이 전개될 것이냐는 지켜보는 것이 도리”라고 덧붙였다.
‘여론수렴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충분한 여론수렴을 하려면 시간이 상당히 많이 필요할 것”이라며 “취임식까지 날짜가 얼마 없는데, 여론수렴에 시간을 많이 보내면 이전 자체에 대한 결심을 하기가 더 어렵지 않나 생각한다”고 했다.
김 전 위원장은 다만 윤 당선인이 ‘국민 소통’을 이유로 용산 이전 입장을 고수하는 것에는 “판단의 차이”라며 입장 차이를 보였다. 그는 “꼭 용산 같은 데로 가서 대통령 집무실이 있다고 그래서 무조건 소통이 잘된다고 볼 수가 없다”며 “대통령을 모시는 비서관들이나 대통령 스스로나 그 소통 관계를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지적했다.
김 전 위원장은 정치권 안팎에서 나오는 ‘정계개편’ 가능성에 대해서는 “정계개편은 인위적으로 될 수 없고 자연적으로 될 수밖에 없는 것”이라며 관망하는 입장을 보였다.
그는 “윤 당선인은 그동안 정치인이 아니었기에 국민의힘 자체에 대해서도 전반적인 파악이 어려울 것이고 그렇기에 당선인이 ‘나는 당의 일에 관여하지 않고 대통령 업무에만 충실하겠다’고 했다”며 “하지만 대통령 업무 중 상당부분이 정치와 뗄 수 없기에 정계개편 말이 나올 수 있지만 현재로선 그런 얘기가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