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도시재생’ 창신·숭인 찾은 오세훈 “규제 완화하겠다”

입력 2022-03-21 17:05
오세훈 서울시장과 최재형 국회의원이 종로구 창신, 숭인 지역을 찾아 발언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오세훈 서울시장이 재개발 신속통합기획 후보지로 선정된 서울 종로구 창신·숭인 지역을 방문해 부동산 규제 완화 및 주택 공급 확대 의지를 거듭 약속했다.

오 시장은 21일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도시재생 1호 사업지에서 신속통합기획 대상지로 전환된 창신·숭인 지역 주민들과 만나 “이곳은 재개발이냐, 도시재생이냐를 두고 정말 첨예하게 대립했던 곳”이라며 “무려 1000억원에 가까운 돈을 도시재생사업에 썼지만 얼마나 만족스러운지는 여러분들이 더 잘 알고 계실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서울은 더 이상 집을 새로 지을 땅이 없다. 신규주택 갈증이 높아질수록 해법은 재건축·재개발밖에 없다”며 “그 요구에 부응을 못 해 최근 2~3년간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고 서민이 피눈물을 흘리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1년 동안 주거정비지수제 폐지, 신속통합기획 도입, 2종 7층 일반 주거지역 규제 완화 시도를 통해 해결의 물꼬를 트겠다 하는 정책적인 의견을 전달해 드린 바 있다”며 “그중에서 아마 가장 상징적인 곳이 바로 이곳 창신·숭인 지역”이라고 강조했다.

이 지역은 2010년 재정비 촉진사업이 추진됐지만 2013년 구역이 해제됐고, 2014년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지정됐다. 봉제역사관, 안전안심 골목길 조성사업 등 도시재생 마중물 사업은 2019년 모두 완료됐으나 워낙 낡은 저층 주거지이다 보니 물리적 환경개선에 한계가 달한 상황이다.

또 공공사업으로만 사업이 추진돼 민간참여가 저조해 도시재생의 파급효과도 제한적이었다. 이 때문에 서울시는 지난해 말 민간 재개발 후보지 공모를 통해 창신·숭인을 비롯한 재생지역 4곳, 해제지역 3곳 등 신규 후보지 21곳을 선정한 바 있다. 사업이 모두 완료될 경우 2만5000호의 주택이 공급될 전망이다.

오 시장은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따른 용산 재개발·재건축 위축 우려를 묻는 기자들 질문에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집중적으로 토의했다. 건축제한 때문에 더 이상 걱정하실 상황이 아니라는 데 충분히 공감대를 이뤘다”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