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여성가족부 공무원이 한 명도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인수위와 여성가족부 등에 따르면 184명 규모의 인수위에 여가부 직원은 포함되지 않았다. 이번 인수위는 인수위원 24명, 전문위원 76명, 실무위원 73명 등 총 184명으로 구성돼 있다.
기획재정부에서는 6명,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금융위원회는 각 2명씩 인수위에 공무원을 파견했다. 중소벤처기업부, 복지부 등에서도 각 1명을 파견했다.
여가부는 인수위에 공무원 4명을 추천했는데 최종적으로는 파견이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과거 이명박정부에서는 여가부 직원 1명이 인수위에 파견됐고, 박근혜정부 인수위에서는 2명을 파견 받았었다. 탄핵 이후 집권한 문재인정부에서는 인수위가 없었다.
여가부의 인수위 파견이 이뤄지지 않은 것은 윤 당선인의 여가부 폐지 공약이 영향을 미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윤 당선인은 지난 13일 “(여가부가) 이제는 좀 부처의 역사적 소명을 다 하지 않았느냐”라고 말했다.
신용현 인수위 대변인은 21일 브리핑에서 “인수위 명단에 대해 확인해 드릴 수 없다”면서도 “파견 공무원이 56명밖에 안 되고 모든 부처가 다 와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신 대변인은 이어 “여성 정책이 혹 소홀하게 되지 않을까 그런 걱정이 있을 수 있는데 국정과제를 할 때 여성 청년 노인 문제라든지 저출산 고령화 이런 것들이 폭넓게 다뤄질 수 있다”며 “혹시 전문위원, 실무위원이 부족하다면 자문위원에서 충분히 보충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여가부 공무원이 파견되지 않는다고 해서 여성 정책이 소홀하게 다뤄지진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윤석열 인수위에 속한 인수위원 24명 중 서울대는 13명이고, 평균 연령은 57.6세에 여성 위원은 4명이다. 이른바 ‘서오남’(서울대 출신 50대 남성)이 주류로 부상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