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코로나비상대응특별위원장은 21일 정부의 코로나19 방역 대응을 ‘무너진 정치 방역’으로 규정하고 “폐허 위에 과학 방역이라는 든든한 섬을 지어야 한다”고 말했다.
인수위원장을 겸직하고 있는 안철수 코로나특위 위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원회에서 코로나비상대응특별위원회 제1차 회의를 열고 “과학 방역의 구체적 내용을 세우는 것이 우리 특위의 첫번째 임무”라며 이같이 말했다.
안 위원장은 정부의 방역의 실패 원인 규명을 첫 과제로 꼽았다. 그는 “그간 현 정부에서 시행했던 정책들을 점검하고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확인하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며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적 일상회복, 백신 패스, 백신 부작용 문제, 아동백신 접종에 대한 가이드라인, 위중증자를 위한 병상 및 의료진 확보 문제 ,경구용 치료제의 수급 문제 등 점검해야할 문제들이 너무 많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 확진자 수 예측이 왜 빗나갔는지, 지금까지 쌓아놓기만 한 확진자 위중증자에 대한 자료 분석이 필요하다”며 “백신 주권국가가 되기 위해서 우리가 해야할 일들 그리고 국산 경구용 치료제 개발 문제를 어떻게 할 것인지도 풀어야 할 숙제”라고 했다.
안 위원장은 또 인수위 첫 과제로 제시했던 자영업자·소상공인 손실보상에 관해 “손실액 산정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보상 방안으로 대출연장, 세금 감면, 현금 지원에 대해서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할 지에 대해서도 최선의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안 위원장은 “과학적인 코로나19 방역 체계를 확립하고 합리적인 소상공인 보상방안을 마련해서 실행하는 것이 지금 현시점에서 가장 시급한 제1의 민생과제”라고 재차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그러나 급하다고 해서 충분한 고려 없이 설익은 해법을 내놓는다면 오히려 혼란과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며 “향후 다른 감염병 유행 시에도 좋은 참고가 될 수 있는 완성도 높은 해법을 국민 앞에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