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부살인 의뢰하면 안 되나.” “10만명이 공동구매하자.”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을 향한 ‘살인 청부’ 관련 게시물이 쏟아지면서 선을 넘었다는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를 심각하게 여긴 일부 누리꾼이 정보·수사기관에 신고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박민영 전 국민의힘 청년보좌역은 20일 페이스북에 “‘여성시대’ ‘더쿠’ 등 극단적 여초 커뮤니티의 악행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며 “집단 저주의식에 이어 공공연히 당선인 청부살인을 모의하는 걸 보면 말이다”라고 적었다.
그는 “지금이라도 공론화해 양지로 끌어내지 않으면 이들은 ‘일간베스트’ 이상의 괴물이 될 것”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그러면서 해당 커뮤니티에 올라온 살인청부 관련 게시물 제목을 캡처한 사진을 공유했다.
그가 공유한 사진에는 “필리핀은 청부살인 20만~30만원이라는데, 국내 도입이 시급하다” “죽이고 싶은 사람이 있는데… 윤모씨” “10만명이서 공구하면 안 되냐” “필리핀에 아는 사람 없느냐”는 등의 글이 올라와 있다.
박 전 보좌역은 “상기 커뮤니티들은 회원 가입에 주민등록증, 사진을 인증해야 하는 등 폐쇄적으로 운영돼 자정능력을 완전히 상실한 것으로 확인된다”며 “극단은 성별을 가리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살인청부 관련 글은 20대 대선이 끝난 지난 10일 이후 친여 성향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조금씩 올라왔다. “5월 9일 전에 청부살인 고용하고 싶다” “제발 모금해서 윤석열 살인청부하고 싶다”는 등의 글이 여성만 가입 가능한 커뮤니티인 ‘여성시대’에 올라왔다.
윤 당선인의 대통령직 인수위 행보가 본격화되던 17일 무렵에는 친여 성향의 다른 커뮤니티인 ‘더쿠’에 “청부살인 남자 기준 필리핀은 600만원, 말레이시아는 270만원” “필리핀 청부살인 30만원이라는데 30만명이 1원씩 모아서 의뢰하면 30만명 모두 살인교사죄가 되는가” 등의 글이 올라왔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공분의 목소리가 나왔다. 일부 누리꾼은 “해당 사이트 게시글을 국가정보원에 신고했다”고 인증하기도 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