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계획에 대해 군 내부에서는 난감해하는 분위기가 감지됐다.
대선 국면에서는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가 집무실 이전 후보지로 한 번도 거론되지 않다가 급작스럽게 최종 부지로 결정된 데 대한 당혹감이 엿보였다. 일방적으로 군 수뇌부의 거처와 근무지를 옮기라는 것이 마치 군을 홀대하는 것처럼 느껴진다는 시각도 있다.
윤 당선인의 집무실이 국방부 본관에 마련되면,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의 연쇄 이전이 불가피하다.
군 당국은 대통령 집무실이 들어설 국방부 본관을 최우선으로 비운다는 방침이다. 현재 국방부 본관에 있는 국방부 장·차관실과 정책실, 기획조정실 등 핵심 부서를 본관 옆에 있는 합참 청사 4개 층으로 옮겨질 전망이다. 나머지 부서는 국방부 영내에 있는 국방부 별관(구청사)과 정부과천청사 등 10여 곳으로 분산 배치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에 자리를 내준 합참 부서들은 국방부 영내 육군 공보과가 있는 건물로 우선 이주할 예정이다. 윤 당선인의 계획에 따라 합참은 장기적으로 서울 관악구 남태령의 수도방위사령부 쪽으로 이전하게 될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 국방부가 남은 합참 청사까지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방부 영내에 있는 국방시설본부는 청와대 경호처에 건물을 내줄 전망이다. 이에 따라 시설본부는 경기도 고양의 옛 30사단 본부 빈 건물로 임시 이전할 계획이다.
국방부는 현재 용산 영내에 있는 직할부대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로 떼어내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국군사이버사령부, 국방조사본부, 근무지원단 등 직할부대의 상당수를 수도방위사령부나 정부과천청사 등지로 이전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