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시민의 의견을 받아 시정 운영에 반영하는 ‘주민참여예산’을 매년 확대하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인천시는 2019년 200억원, 2020년 300억원, 2021년 400억원, 2022년 500억원으로 매년 100억원씩 주민참여예산의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올해 편성된 인천시 주민참여예산은 시민이 제안하는 ‘참여형’ 240억원, 민·관이 함께 발굴하는 ‘협치형’ 200억원, 동 단위 생활밀착형 사업인 ‘주민자치회형’ 60억원 등 3개 분야로 운영된다.
그중 지난해 심의를 거쳐 올해 ‘참여형’ 주민참여예산으로 확정된 사업은 79건, 약 180억원이며, 내년에는 이보다 60억원이 늘어난 240억원이 편성됐다. 이에 인천시는 내년 살림살이에 반영할 ‘참여형’ 주민참여예산 제안사업을 다음 달 30일까지 접수에 나선다.
인천시는 보다 많은 시민이 더욱 쉽게 사업을 제안할 수 있도록 참여방법을 다양화했다. 시 홈페이지는 물론, 전국 최초로 NFC(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태그가 삽입된 포스터를 제작·게시해 시민들이 포스터에 휴대폰을 가까이 대기만 해도 바로 사업제안을 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식을 도입했다.
접수된 제안사업은 5월부터 시 담당부서의 검토를 거쳐 시민, 시민단체, 대학교수 등으로 구성된 주민참여예산 위원회에 전달돼 위원회에서 심의 후 9월 주민투표와 의회 의결을 통해 2023년 주민참여예산 사업으로 최종 반영된다.
접수는 시 홈페이지를 통해 연중 받고 있으나, 올해 4월 30일까지 신청 건에 한해서만 2023년 주민참여예산으로 심의한다. 기한을 넘겨 접수된 제안은 2024년 예산으로 심의한다.
김진태 인천시 재정기획관은 “주민참여예산은 시민이 만드는 것인 만큼, 세 유형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참여형 사업이 다채롭게 발굴될 수 있도록 시민 여러분의 많은 참여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인천시는 그간 ‘참여형’ 주민참여예산 사업을 통해 스마트 횡단보도 설치, 화재 취약가구 소화기·감지기 보급 등의 사업을 추진했다.
인천=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