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180여 명의 인원으로 최종 구성된 것으로 19일 알려졌다. 당초 200명 규모로 인수위가 꾸려질 것으로 전망됐지만, 윤 당선인이 ‘신속하고 슬림한 인수위’를 강조하면서 예상보다 인원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인수위에는 특히 부동산 및 원전 등 에너지 분야 전문가가 각각 5~6명 해당 분과에 전문위원으로 포진된 것으로 전해졌다. 인수위원 면면에 해당 분야 전문가가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윤 당선인 측 핵심 관계자는 이날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인수위 규모는 최종 180여 명으로 확정됐다”며 “당초 인수위 인원을 200명 정도로 전망했으나 업무 추진의 신속성과 효율성이 중요하다는 판단하에 예상보다 규모가 슬림해졌다”고 말했다.
이어 “부동산 분야 전문가와 에너지 분야 전문가들도 전문위원으로 합류했다”며 “워낙 다양하게 챙길 분야가 많지만, 정책적 중요성을 고려해 부동산 전문가와 에너지 전문가를 각각 5~6명 정도 투입했다. 관련 정책과 공약을 면밀하게 챙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당선인 측은 교육 분야 전문가도 인수위에 일부 배치한 것으로 전해졌다.
180여 명은 안철수 인수위원장, 권영세 부위원장 등 기존 발표된 인수위원과 대변인단, 국민통합위원회, 코로나비상대응 특위, 지역균형발전 특위 소속 인원을 모두 합친 숫자인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위 각 분과에 배치된 30여 명의 청년 실무위원도 이 숫자에 포함돼 있다.
‘윤석열 인수위’는 당선 9일 만에 진용이 완비돼 다음 주부터 본격적으로 업무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윤 당선인은 18일 인수위 현판식 후 첫 전체회의를 주재하면서 “인수위는 신속한 업무 파악을 하고 개선해나갈 점과 새롭게 추진해야 할 과제들을 빈틈없이 챙겨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인수위 규모가 당초 예상한 것보다는 줄어들었지만, 역대 인수위와 비교해보면 이명박정부 인수위와 비슷한 규모다. 역대 정부의 인수위 규모는 김대중정부 인수위가 208명, 노무현정부 246명, 이명박정부 183명, 박근혜정부 150명으로 나타났다.
윤 당선인 측은 인수위 전문위원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대선 후보 때 강조해왔던 부동산과 원전 등 에너지 정책 분야 전문가를 특히 보강했다고 한다. 인수위원 면면이 발표된 뒤 부동산 정책 전문가가 없다는 지적이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탈원전 정책 폐기를 뒷받침해줄 만한 전문가가 없다는 것도 당시 문제점으로 꼽혔다.
안철수 위원장의 추천 인사들이 과학·산업 분야 인수위원으로 대부분 배치되면서 부동산·에너지 분야 전문가를 인수위원으로 선임하는데 차질을 빚은 것 아니냐는 시각도 많다. 국민의힘 소속 한 의원은 “안 위원장이 추천한 고산 에이팀벤처스 대표 같은 경우 24명의 인수위원에 선임될 정도의 정책적 능력이 있는지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문동성 이가현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