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방역 완화 멈춰야…코로나 사망자 수 과소평가해”

입력 2022-03-18 16:26 수정 2022-03-18 16:27
정부가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사적모임 제한을 21일 부터 6인에서 8인으로 확대한다고 발표한 18일 서울 한 음식점에 변경된 사회적 거리두기 문구가 붙어 있다. 뉴시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18일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세에도 정부의 사적모임 8인까지 허용하는 것을 골자로 한 방역완화를 결정하자 이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확진자 급증에 따른 사망자 수가 늘어나는 상황이고, 의료기관의 여력이 한계에 달했다는 이유에서다.

의협 코로나19대책전문위원회는 이날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정부는 현재 백신 접종률이 높고 오미크론의 치명률이 낮다는 이유만으로 방역을 완화하고 있다”며 “급속한 환자 증가를 보이는 현 상황에서는 사태가 진정될 때까지 한시적인 방역완화 중지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의협은 “현재 사회기능이 마비되고 보건소 및 의료기관의 재택치료 관리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방대본은 백신 접종군에서도 최대 8일까지 34%의 양성율을 보인다고 하는 결과가 나왔다고 브리핑하기도 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성급한 방역완화를 시도하는 것은 국민들을 위험에 처하게 하는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오는 21일부터 다음 달 3일까지 코로나19 백신 접종 여부와 관계없이 6인까지 가능했던 사적모임 인원 제한은 8인까지 확대된다. 식당·카페, 실내체육시설과 같은 다중이용시설 이용 시간은 종전처럼 오후 11시까지다. 뉴시스

이어 “코로나19 환자 발생률이 치명률 감소를 상회할 정도로 사망자가 급격히 늘고 있다”며 “현 시점의 사망자 수로도 인구 대비 전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여기엔 짧은 격리기간 해제 후 사망한 사람들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오미크론 감염 후 기저질환의 악화로 인한 사망도 증가하고 있어 현재 집계되는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 수는 오히려 과소평가된 것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현재 10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한 요양병원 및 병원이 서울시에만 거의 200개에 육박한다. 코로나19 환자들의 적절한 치료를 위한 의료기관 이송이 사실상 중단된 상태라 무더기 사망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며 “코로나19 전담 의료기관에서도 직원들이 잇따라 감염돼 더 이상 버티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고 호소했다.

의협은 “의료기관내 전파를 막으려면 검사 접근성을 높여야 하므로 신속항원검사 및 PCR검사에 건강보험 적용을 확대해야 한다”며 “치료제 팍스로비드의 빠른 처방과 복용이 중증 진행을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데도 불구하고 제대로 공급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이같은 실책에 대해 솔직히 인정하고 조속히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즉각 마련하라”며 “증상 초기에 의료진이 즉시 처방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급을 확보하고 고위험자 치료 패스트트랙을 시행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