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는 1인 가구에 대한 정책 발굴에 나선다고 17일 밝혔다.
시는 청년·노인 등 담당 공무원, 여성가족재단 등 4개 기관 전문가 14명으로 구성된 1인 가구 지원 태스크포스(TF)가 18일 첫 회의를 열어 활동에 들어간다.
TF는 주거·돌봄 지원, 고독사 예방, 사회적 관계망 등 1인 가구에 대한 다양한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정책 과제를 발굴해 추진한다. 각 부서‧기관이 추진하는 사업을 공유하고, 1인 가구가 겪는 문제와 해결책에 대해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광주지역 1인 가구는 2020년 말 기준 19만3948 가구로 전체의 32.4%에 달한다. 지난 2000년 6만207가구(14.7%)에 비해 3배 이상 늘어 현재 3가구 중 1가구를 차지한다.
시는 2019년 10월 1인 가구 지원 조례를 제정하고, 2020년에는 실태 조사를 거쳐 기본계획을 세웠다. 올해는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임대주택 그린 리모델링, 여성 범죄예방 취약가구 지원 등 사업을 벌인다.
시는 혼자 사는 것이 점차 보편화되면서 주거취약, 돌봄공백, 사회적고립 등 문제에 따른 지자체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시는 청년‧노인‧중장년‧여성 등 각계각층의 주거지원, 돌봄지원, 고독사예방, 사회적관계망 지원 등 정책수요에 맞는 분야별 대책을 마련해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1인 가구 대상 분야별 주요사업은 정책 수요가 가장 높은 주거지원 차원의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53억원), ‘1인가구 임대주택 그린리모델링’(195억원), 여성 1인가구의 안전을 위한 ‘여성 범죄예방 취약가구 지원’, 1인가구의 고립 방지 ·사회적 관계망 형성을 위해 각종 프로그램 운영, 동아리활동 지원 등이다.
최선영 시 여성가족과장은 “1인 가구가 대표적인 가족형태가 됐다”며 “1인 가구의 당당하고 행복한 삶을 위해 관계기관과 협력해 정책을 발굴하고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