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한인 여성 4명 등 아시아계 여성 6명의 목숨을 앗아간 애틀랜타 총격 1년을 맞아 성명을 내고 변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성명에서 “이 끔찍한 살인은 미국 전역의 공동체에 충격을 주고 우리나라가 인종차별주의, 여성 혐오, 모든 형태의 증오, 또 이 극단주의를 가능케 하는 만연한 총기 폭력과 싸우기 위해 얼마나 노력해야 하는지를 강조했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애틀랜타를 방문한 자리에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너무 많은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느꼈던 공포와 고뇌에 대해 들었다”며 “반(反)아시아 폭력과 차별이 미국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고, 아시아계 미국 여성들이 인종과 성별을 이유로 표적이 되는 복합적 피해를 겪고 있음을 적나라하게 상기시켰다”고 설명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비극에 직면해 놀라운 회복력을 보여준 희생자와 가족, 애틀랜타 공동체에 경의를 표한다”며 “우리는 반아시아 정서와 젠더 기반 폭력을 생각하고, 아시아인의 정의, 안전, 존엄성을 실현하기 위해 다시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여성폭력대응법 재승인을 기념하는 백악관 행사 연설에서도 애틀랜타 총격 사건을 언급하며 “우리나라와 세계에 폭력의 두려움 속에 사는 여성이 있는 한 이 신성한 약속을 이행하기 위해 해야 할 더 많은 일이 있다”고 말했다.
애틀랜타 총격사건은 지난해 3월 16일 풀턴 카운티 스파숍 2곳과 체로키 카운티 마사지숍 1곳에서 로버트 애런 롱이 총기를 난사해 8명을 살해한 참사였다. 희생자 8명 가운데 6명이 아시아계 여성이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