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간 회동이 16일 전격 무산된 배경에는 회동 성격에 대한 양측의 온도차가 1차적으로 작용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청와대는 상견례 겸 당선 축하인사를 건네는 성격의 회동을 원했던 반면, 윤 당선인 측은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과 문 대통령 임기 말 공공기관장 인사 등 구체적인 논의를 요구하면서 회동이 불발됐다는 것이다.
그러나 특정 사안을 놓고 심각한 의견 차이가 빚어졌고, 이에 대한 타협점을 찾지 못하면서 회동이 무산됐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에서 “실무 협의가 마무리되지 않아 회동 일정을 다시 잡기로 했다”며 “실무 차원에서 협의는 계속 진행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회동을 4시간가량 앞둔 상황에서 취소 발표를 한 것이다. 당초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은 배석자 없이 오찬을 가질 계획이었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오늘 회동은 실무 협의가 마무리되지 않아 일정을 다시 잡기로 했다”며 “일정을 미루기로 한 이유에 대해서는 양측 합의에 따라 밝히지 못함을 양해해 달라”고 설명했다.
당일에 만남을 취소한 것은 이례적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전날 오후까지만 해도 회동이 확실시되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청와대와 윤 당선인 측 모두 회동이 무산된 ‘진짜’ 이유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다.
다만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축하와 덕담, 희망적인 메시지를 내야 하는 대통령과 당선인 간 첫 만남의 성격이 의제화로 지나치게 규정되면서 이철희 정무수석과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 등 실무자들의 부담이 늘어난 것 아닌가”라고 전망했다.
이 관계자는 이 전 대통령 사면 등 사면 문제나 공공기관장 인사 등를 두고 청와대와 윤 당선인 간 갈등이 빚어진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선 “그런 것은 아니다”라며 “지나친 의제화가 가져온 실무자 간의 부담 때문에 회동 준비 시간이 더 필요했던 것 같다”고 답했다.
윤 당선인 측은 “회동 연기 사유에 대해 밝히지 않겠다는 청와대와의 약속을 지킬 것”이라고 말문을 닫았다.
당초 윤 당선인은 이날 회동에서 이 전 대통령의 사면과 코로나19 추가경정예산안 등을 건의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한은 총재를 비롯한 공공기관장 인사 협조를 요청할 것으로 전해졌다.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이 15일 김오수 검찰총장 거취에 대해 “자신의 거취를 스스로 결정해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밝히면서 여권이 반발하는 상황도 영향을 줬다는 분석도 나온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