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도 등교 전 검사한다…교육부 “교내 확산 방지 효과 커”

입력 2022-03-16 12:02 수정 2022-03-16 13:25
전국 초·중·고교 개학 날인 2일 오전 서울 강남구 도곡중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코로나19 자가검진키트가 지급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

오는 4월에도 학생과 교직원들은 등교 전 집에서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활용한 자가 검사를 먼저하는 방식을 이어갈 전망이다.

교육부는 새 학기 시작에 맞춰 학생과 교직원을 대상으로 시행해 온 선제 검사를 다음 달에도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교육부가 개학 직후 1주간(지난 2∼7일) 학생 394만6559명과 교직원 42만2408명의 건강상태 자가진단 애플리케이션(앱) 응답 결과와 질병관리청이 보유한 PCR(유전자증폭) 검사 결과를 연계·분석한 결과 선제 검사가 확진자 조기 발견에 큰 효과가 있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교육부에 따르면 이 기간 등교 전 신속항원검사를 통해 총 18만1258명이 양성 판정을 받아 PCR 검사를 받은 결과 16만1329명이 실제 확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신속항원검사키트의 양성 예측도가 약 89%였던 것이다.

이를 근거로 볼 때 신속항원검사로 확진자가 조기 발견, 등교를 중단함으로써 학교 내 코로나 확산 방지에 큰 효과가 있었다는 게 교육부 평가다.

교육부는 코로나19 확산 정점이 앞으로 1∼2주간 지속되다가 완만하게 감소할 것이라는 방역 당국 예측 등을 고려해 다음 달 둘째주(4월 16일)까지는 현재와 같은 주 2회 검사를 유지할 계획이다.

이어 다음 달 셋째주부터는 학생도 교직원과 마찬가지로 주 1회 검사를 원칙으로 하고, 지역별 감염병 상황에 따라 시·도교육감이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위해 4월 총 4290만개의 신속항원검사 키트가 학생과 교직원에게 배부된다. 교육부 특별교부금 208억원과 시·도교육청 예산 832억원 등 총 140억원이 소요될 예정이다.

지난 2월 22일 오전 서울 구로구 서울항동유치원에서 한 교사가 유치원생에게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배부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

교육부는 이와 함께 이달 말부터 시작되는 5∼11세(2010년∼2017년생) 소아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관련 이상 반응에 대한 지원 방안도 내놨다.

만 18세 이하 학생 중에 접종 이후 90일 내 중증 이상 반응이 생겼으나 인과성이 인정되기 어려워 국가 보상을 받지 못할 때 교육부가 의료비를 500만원 한도 내에서 지원한다.

교육급여 대상자(중위소득 50% 이하)는 최대 1000만원까지 의료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교육환경보호원에 의료비 지원신청서와 증빙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