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차별과 혐오 사라졌나”… 조희연 ‘여가부 폐지’ 반대

입력 2022-03-16 04:58 수정 2022-03-16 10:38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지난 5일 서울 서초구의 공립특수학교인 서울나래학교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에 대해 “여학생들이 사회에 진출한 뒤 겪는 차별과 혐오가 없다고 할 수 없다”며 폐지 반대 입장을 밝혔다.

조 교육감은 15일 페이스북에서 “지금 벌어지는 논란이 우려스럽다”며 “2001년 여성부가 설치됐을 당시 한국 여성들이 겪고 있던 문제가 지금은 다 해결된 것이냐. 이제는 여성에 대한 구조적 차별과 혐오가 다 사라진 건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단지 행정부처로서 여가부의 존폐에 대한 논란일 뿐이라면 크게 걱정하지 않는다. 행정적인 해법을 찾으면 될 일”이라면서도 “하지만 여성부를 설치했던 문제의식, 역대 정부가 여성할당제를 적용했던 취지까지 부정하는 논쟁이면 저도 진지한 목소리를 낼 의무가 있다”고 말했다.

조 교육감은 “언론보도만 봐도 알 수 있다. 숱한 데이트 폭력 사건과 여성혐오 발언이 있고, 똑같은 대학과 학과에서 똑같은 학점을 받았지만 여학생이 취업에서 불이익을 겪었던 사연이 있다”고 했다. 또 2021년 상장법인 여성임원 비율이 5.7%에 불과한 점을 언급하며 “이게 과연 여성의 능력이 더 부족하기 때문이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혐오를 부추겨 싸움에서 이길 수는 있다. 하지만 혐오를 통해 더 나은 사회를 만들 수는 없다”며 “더 나은 사회로 가는 길은 차별을 줄이는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조 교육감은 “변화와 차이를 인정하면서 협치를 이뤄가는 것이 국민통합 정부를 만들겠다는 윤 당선인의 약속을 실현하는 길”이라며 “여가부에 대한 입장은 선거 과정에서 생긴 상처를 치유하고 공존의 정치를 이루는 협치의 토론 주제로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여가부라는 한 부처의 존폐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보다 편견과 차별이 견고하던 시절에 여성부를 설치하고 여성할당제를 도입했던 이들과 공존하는 윤석열정부가 되길 바란다”며 “합리적인 대화의 장을 마련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