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당선인이 대통령에 취임하기 전 미국에 보낼 특사에 박진 국민의힘 의원이 확정된 것으로 15일 알려졌다.
2003년 노무현 당시 인수위 이후 역대 대통령 당선인은 정식 취임 전 한반도 주변 4강(미국·중국·일본·러시아)에 특사단을 보내 새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을 설명하고 정상회담 일정 등을 조율해왔다.
그러나 윤 당선인은 중국·일본·러시아에는 특사를 파견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대신 유럽연합(EU)에는 따로 특사를 파견할 것으로 보인다.
윤석열 당선인이 4강 특사 중 미국 특사만 확정한 것은 한·미 동맹 재건을 최우선시하겠다는 윤 당선인의 의지를 보여 주는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인수위 사정에 밝은 국민의힘 의원은 “미국 특사에 박진 의원이 사실상 확정됐다”면서 “박 의원의 구체적인 출국 시점은 미국 측과 협의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윤 당선인이 박 의원을 미국 특사로 내정한 것과 관련해 ‘미국통’ 4선 국회의원인데다, 2008년 미국을 방문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만난 경험이 있는 것이 결정적인 이유로 알려졌다.
이번에도 박 의원은 특사로 파견돼 바이든 대통령을 만날 가능성이 높다.
인수위 관계자는 “일단 현재로서는 미국(특사단)을 우선 고려하고 있다”며 “미국 방문에 내실을 기하자는 것이 당선인의 뜻이어서 아주 알차게 정책협의를 할 수 있게 (특사단을) 구성하겠다”고 말했다.
윤 당선인은 지난 10일 당선 수락 5시간 만에 바이든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갖는 등 대선 후보 시절부터 ‘재건’이라는 표현을 쓰며 굳건한 한·미 공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윤 당선인은 러시아의 경우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를 고려해 특사를 보내지 않는 방침을 사실상 확정했다.
중국과 일본 또한 당면한 외교적 현안들이 적지 않아 당선인 신분으로 서둘러 특사를 파견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EU에는 특사가 파견될 것으로 보인다. 인수위 핵심 관계자는 “EU는 다양한 협력 분야가 많아 일단 특사를 보내기로 했다”고 말했다.
윤 당선인의 한·미 동맹을 중시하는 기조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선에서도 드러났다.
이명박정부 때 중용된 김성한 전 외교통상부 2차관과 김태효 전 청와대 대외전략기획관, 이종섭 예비역 육군 중장 등이 인수위 외교안보 분과에 전면 배치됐다.
새 정부의 대북 정책도 문재인정부와는 크게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성균관대 교수인 김 전 기획관은 이명박정부의 ‘그랜드 바겐(일괄타결)’ 구상을 수립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제사회의 경제 지원과 안전 보장을 받기 위해서는 북한이 핵 폐기 의지를 먼저 보여줘야 한다는 것이 ‘그랜드 바겐 구상의 핵심이다.
인수위 관계자는 “북한의 의미 있는 비핵화 조치가 있을 때 거기에 상응하는 경제적·인도적 지원이나 남북 경협을 위한 협의를 유연하게 추진할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문동성 박세환 이상헌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