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시대 열리나…윤 당선인 ‘국방청사 집무실·한남동 관저’ 급부상

입력 2022-03-15 17:55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4일 오전 서울 종로구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 집무실에서 열린 인수위 티타임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 집무실을 청와대에서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이다.

당초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 집무실을 마련하는 방안이 유력했으나 국방부 청사 집무실 카드가 급부상했다. 공원으로 바뀌는 용산 미군기지 부지 주위에 집무실을 마련함으로써 ‘국민과 가까운 곳에서 소통하는 대통령’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도 있다. 국방부 청사 집무실 마련 방안이 확정될 경우 윤 당선인이 대선 기간에 밝혔던 ‘광화문 시대’ 대신 ‘용산 시대’가 열리게 된다.

윤 당선인 측 관계자는 15일 “국방부 청사에 집무실을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국민과 소통을 중시하는 윤 당선인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윤 당선인 측은 ‘정부서울청사 집무실-총리공관 관저’ 마련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했으나 국방부 청사 집무실 카드에 무게를 싣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관계자는 “정부서울청사의 경우 다른 부처들과 함께 사용해야 해 공간이 협소하다”며 “국방부의 경우 여유 공간이 많아서 바로 사용할 수 있어서 여러 장단점을 비교해 보는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직 어디로 갈지 최종 확정된 단계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윤 당선인은 지난 1월 국정 운영 계획을 발표하며 “새로운 대통령실은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 구축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윤 당선인 측이 광화문이 아닌 국방부 청사 카드를 꺼낸 데에는 ‘경호 문제’라는 현실적 문제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 청사는 정부서울청사나 외교부 청사와 비교해 주변에 고층 건물이 없고 외부와의 차단도 용이해 경호에 관한 우려를 덜 수 있다. 또 유사시 국방부 청사와 연결된 지하 벙커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청와대를 시민들에게 완전 개방할 경우 그 지하의 벙커를 유지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국방부를 다른 곳으로 이전하지 않고도 대통령 집무실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국방부 신청사와 구청사에 남은 공간이 충분해 리모델링만 해도 집무실 등을 옮기는 데 무리가 없다는 게 윤 당선인 측의 설명이다. 다만 합동참모본부는 국방부와 청사를 나눠 쓰거나 관악구 남현동 수도방위사령부 쪽으로 이전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대통령 집무실을 광화문에 둘 경우 대통령 관저는 집무실과 가까운 삼청동 총리공관이 유력하고, 집무실이 용산으로 간다면 관저는 용산구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이나 외교부·국방부 장관 공관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를 맡고 있는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부터 이틀간 국방부, 외교부, 경호 전문가 등과 함께 실무 회의를 가질 예정이다. 문재인정부 인사들도 회의에 대거 참석해 문 대통령 집권 초 ‘광화문 시대’를 검토했다가 가로막힌 경험을 공유할 것으로 보인다.

박재현 이가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