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5일 경북 울진 산불 피해 현장을 찾았다. 이날 윤 당선인은 울진군 북면 검성리 마을과 부구리 등 피해를 본 지역을 돌며 현장을 점검하고 이재민들을 만나 위로의 말을 전했다.
윤 당선인은 주민들을 만나 “현장을 봐야지, 언론에 보도된 것 만으로는 모른다”며 울진을 찾은 이유를 설명했다.
전찬걸 울진군수는 현장 브리핑에서 이재민 주택복구비를 비롯해 송이 생산 농가 보상안, 죽변 비상활주로 폐쇄와 신한울 3, 4호기 재개 등 현안사항을 보고했다.
전 군수는 이재민들의 주택 재건축에 따른 건축비용을 정부 차원에서 지원 검토해 줄 것과 농축산농가에 대한 보상, 보상목록에 없는 송이 피해 농가에 대해 정부재난지원금으로 지원해줄 것을 요구했다.
이번 산불의 경우 사회재난으로 분류돼 지침상 이재민 주택 복구비와 관련된 지원은 없고, 주택 전파 시 주거비 1600만과 최대 8840만원의 복구자금 융자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송이 피해의 경우 현재까지 신고된 농가만 305건 정도다. 향후 신고건수가 더 늘어날 것을 감안하면 피해가 심각하지만, 임산물 피해보상에 관한 관련 규정이 없어 지원책은 전무한 상황이다.
윤 당선인은 피해 현황을 보고 받은 뒤 부구3리 마을회관을 찾아 산불피해를 입은 주민 12명과 면담 시간을 가졌다. 주민들은 산불피해에 따른 실질적인 보상안 마련과 일상회복을 위한 지원 등을 건의했다.
이에 윤 당선인은 “피해를 입은 주민들이 공평하게 보상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으며, 주택 복구에도 지장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주민 권혜순(64·여)씨는 “20여년 전에 책정한 주택 완파 1600만원, 반파 800만원이라는 정부의 보상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의견을 전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의 규제가 너무 많아 복구와 보상이 늦어질까 우려된다. 화마 자국이라도 하루빨리 해결해야 마음이 편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주민들도 농기계 등의 피해보상과 송이 생산 농가의 피해에 대한 보상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문강욱(66)씨는 “윤 당선인이 정부 차원의 실질적인 보상은 물론 지역 내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한 만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윤 당선인은 울진 일정을 끝내고 곧바로 인근 산불 피해 지역인 강원도 동해시로 이동했다.
울진=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