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여성정책이 ‘후진국형’이라며 비판했다.
진 전 교수는 15일 페이스북에 “유럽연합(EU) 국가들이 2027년까지 상장기업 이사회에 여성을 최소 3분의 1 이상 포함하도록 합의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그러면서 윤 당선인이 부처별 30% 여성 할당제를 폐지한 일을 지적했다.
진 전 교수는 “대한민국이야 구조적 성차별이 존재하지 않는 지상낙원인지라 굳이 이런 후진적 제도가 필요 없겠다”라며 “이준석-윤석열과 함께 선진국 아프가니스탄을 향해 굳건히 나아가자”고 비꼬았다.
이는 윤 당선인과 이 대표의 인식이 여성의 공적 활동 및 교육을 금지시킨 아프가니스탄과 다를 게 없다는 조롱이다.
앞서 윤 당선인은 지난 13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1차 인선을 발표하면서 “(여가부는) 부처의 역사적 소명을 다하지 않았느냐”고 언급했다.
윤 당선인은 ‘여가부 폐지 관련 정치권의 이견이나 반발을 어떻게 돌파할 것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저는 원칙을 세워놨다. 여성과 남성이라고 하는 집합적 구분과 그 집합에 대한 대등한 대우라는 방식으로는 여성이나 남성이 구체적 상황에서 겪는 범죄 내지 불공정의 문제를 해결하기가 지금은 어렵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정의당도 여가부 폐지 공약을 폐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강민진 청년정의당 대표는 지난 14일 국회에서 연 대표단 회의에서 “윤 당선자는 새 정부에서 여가부를 폐지하겠다고 밝혔는데 이는 당선 직후 강조한 통합과 협치와는 한참이나 거리가 먼 행보”라며 “여가부 폐지 공약은 이준석식 갈라치기의 상징이었는데, 지지층을 결집하는 슬로건이었을지는 몰라도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여가부 폐지 공약을 폐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