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미국의 군사적 지원 탓에 우크라이나 사태가 더 악화됐다고 주장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 세계가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며 군사적 긴장감이 격화되고 전쟁 규모가 커졌다는 것이다.
북한 외무성은 14일 홈페이지에 ‘국가전파금융위험의 장본인-미국’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미국이 최근 우크라이나에 대규모 군사 지원을 해 전쟁 사태를 더욱 악화시켰다”고 밝혔다.
외무성은 “미국이 군사적 패권 유지를 위해 해마다 천문학적 액수에 달하는 군비를 마구 탕진해 만들어낸 무기들이 흘러 들어간 지역에서 군비경쟁이 격화하고 있다”며 “이 지역에서는 대립과 분쟁이 그칠 새 없이 일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전날 대전차 미사일 재블린과 휴대용 지대공 미사일 스팅어 등 무기와 군수물자를 우크라이나에 지원하기 위한 용도의 2억달러(약 2400억원) 규모 자금을 승인했다. 또 영국은 3615개의 대전차 미사일과 자벨린 대전차 무기를, 북유럽 국가는 1만개 이상의 대전차 무기를 보냈다. 외무성이 언급한 ‘군비경쟁’은 이 점을 염두에 둔 표현으로 보인다.
외무성은 또 “최근 미 재무부는 ‘2022년 국가전파금융위험평가’ 보고서에서 우리나라(북한) 등이 대량살륙무기(대량살상무기·WMD) 전파를 위한 금융 활동을 벌이면서 ‘전파금융 위협’을 조성한다고 걸고 나섰다”며 “미국의 철면피성과 파렴치성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은 그 누구의 전파금융 위협을 떠들기 전에 국제적 군비경쟁과 대량살륙무기 전파로 세계의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는 저들의 죄과에 대한 심판부터 받아야 한다”고 성토했다.
북한 외무성이 언급한 ‘전파금융’이란 대량살상무기 개발과 생산에 필요한 자금이나 금융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행위를 일컫는 ‘확산금융’(PF)을 의미한다. 이들이 언급한 미 재무부 보고서에서 미국은 “북한이 계속해서 미국에 가장 심각한 확산금융 위협을 제기하고 있다”며 “핵·탄도미사일 역량 강화를 위한 수익을 창출하고자 교묘한 제재 회피를 지속하고 있다”고 진단한 바 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