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이 사는 가족이 코로나19에 확진되더라도 백신 접종 여부와 무관하게 등교가 가능해진다. ‘새 학기 적응 주간’이 종료됐지만 오미크론 변이 유행이 정점을 지날 때까지는 단축 수업, 부분 등교, 전면 원격수업 등 학사 운영 유형을 학교가 판단한다.
13일 교육부에 따르면 ‘유·초·중등 및 특수학교 코로나19 감염예방 관리’ 지침이 14일 시행된다. 유치원생과 초·중·고교 학생은 그동안 동거인이 확진되면 백신을 접종한 경우에만 등교할 수 있었다. 미접종자는 7일 동안 등교하지 못했다.
하지만 14일부터는 백신 접종 유무와 상관없이 10일 동안 수동감시를 받으며 등교할 수 있다. 학교를 다니면서 코로나19 증상이 생길 경우 스스로 검사를 받게 되는 것이다. 다만 등교 학생은 확진된 동거인이 검체를 채취한 날로부터 사흘 이내에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고, 수동감시로 전환된 이후 6~7일차에는 신속항원검사를 받도록 권고했다.
기존 학사 운영 방침은 유지된다. 교육부는 ‘교내 확진자 3%’ ‘확진·격리자 15%’라는 기준을 제시하고 학교들이 정상등교, 부분등교, 전면 원격수업 등을 상황에 따라 판단토록 했다. 다만 전면 원격수업 전환은 학습·정서 결손을 고려해 신중하도록 주문했었다. 하지만 오미크론 유행이 정점을 향하는 시점에 새 학기를 맞자 지난 2∼11일을 새 학기 적응 주간으로 설정했다. 적응 주간에는 학교들이 학교와 지역의 감염병 상황에 따라 전면 원격수업을 꺼리지 않도록 좀 더 재량권을 준 것이다. 교육부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0만명 안팎으로 줄어들지 않자 오미크론 유행이 어느 정도 진정될 때까지 적응 주간에 내린 지침을 그대로 유지키로 했다.
정부는 5~11세 대상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계획을 14일 내놓기로 했다. 앞서 지난달 23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화이자의 5~11세용 백신을 허가했다. 방역 당국은 11세 이하 연령층에서도 면역저하자를 비롯한 고위험군의 백신 접종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