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의 성공이 지방 정부의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습니다.”
이철우 경북지사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조직에 균형 발전 TF를 추가한 것과 관련, “적극 환영하고 감사하다”는 뜻을 밝혔다.
이 지사는 13일 “당선인은 후보 시절부터 지역 문제에 관심이 많았고 만날 때마다 ‘이제는 지방 시대를 열어야만 도약을 이뤄낼 수 있다’는데 공감을 해왔다”면서 “이번 결정을 계기로 더욱 소통을 강화하고 새 정부의 성공이 지방 정부의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특히, “새 정부는 역대 인수위원회 최초로 지역 균형 발전 TF를 만들었기 때문에 어느 때 보다 기대가 크고 지방 정부가 더욱 국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인수위에 균형 발전 TF가 공식화 된 만큼 경북도에서도 인력 파견 등을 통해 국가 균형 발전에 대한 밑그림을 함께 그리는데 적극 협조한다는 방침이다.
경북도는 지난 대선 과정에 지역 공약 35개 프로젝트, 약 90조원 규모의 ‘신(新)경북프로젝트’를 각 대선 주자들에게 건의했다.
그 첫 번째 과제로 ‘지방 시대 선도’를 위한 수도권 인구 분산 국가 계획 수립 촉구와 주요 국가 기관 지방 이전 그리고 대구경북경제협력 시범 단지 조성 등의 내용을 우선 포함한 바 있다.
수도권 집중화와 지방간 재정 격차 심화로 지역 간 불평등이 날로 심화되고 있어 국토균형발전을 위해 새로운 방향 모색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경북도는 앞으로 꾸려질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차기 정부 5년의 밑그림을 그리고 선거 과정에서 제시된 공약을 구체화하는 작업이 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지역 발전이 곧 국가 발전으로 연결되는 현안 사업들도 집중 건의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기획조정실을 중심으로 ①산업 경제, ②균형 발전, ③지속 가능, ④문화 관광 등 4대 분과 중심의 ‘차기 정부 국정 과제 범 실·국 대응 체계’를 구축했으며 대구경북연구원을 중심으로 연구지원단도 구성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당선인이 확정된 이후부터 임기 시작일(5월 10일)이후 30일 범위에서 존속하기 때문에 도(道)에서도 약 3개월 간 대응 체계를 유지할 계획이다.
이 지사는 “수도권 일극 체제가 저 출생, 부동산 문제의 원인으로 지방의 발전이 없으면 국가 발전도 없다”고 강조하면서 “당선인께서 균형 발전 TF로 첫걸음을 내디딘 만큼 이제 17개 시·도와 함께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지방화 시대를 열고 대한민국을 초일류 국가로 만들 묘수를 찾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