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유일의 외국인학교가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학생 수 감소와 외국기업 유치난으로 문을 닫게 될 위기를 맞고 있다. 지난 1999년 설립 이후 20여년 만에 최악의 경영난으로 존폐 갈림길에 섰다.
13일 광주시와 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2000년 8월 시교육청 정식 인가를 받은 광주 외국인학교가 개교 22년 만에 폐교를 심각하게 저울질하고 있다.
3년째 이어진 코로나19 여파로 외국기업과 연구인력 유치가 사실상 막히면서 학생 수는 정적 인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지난 2018년 59명이던 학생 수는 2019년 41명에 이어 코로나19가 불어닥친 2020년 33명으로 반 토막이 났다.
지난해는 41명으로 다소 회복됐지만, 정상적 운영을 위한 70~80명 수준과는 거리가 멀다.
이에 따라 이 학교는 지난해 6월 운영난으로 불가피하게 학교 문을 닫는다고 학부모들에게 문자까지 발송했다가 시와 학부모의 설득으로 폐교 방침을 철회하기도 했다.
학교 측은 “외국인 교사와 교직원 등의 인건비로 연간 12억원이 필요하지만, 학생 수가 줄면서 해마다 적자가 쌓이고 있다”는 입장이다. 금융기관에서 운영자금을 빌려 충당하고 있지만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는 것이다.
광주시는 경제자유구역 활성화와 핵심사업인 인공지능 집적단지 조성을 위한 필수 인프라로 인식하고 지원방안을 강구 중이지만 법적 근거가 명확하지 않아 고심하고 있다.
광주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상대로 유치원과 초·중·고 과정을 운영하는 이 학교의 경우 학력 인정이 되지 않아 사립학교법, 지방재정법에 따른 재정결함보조금을 지급할 수 있는 뚜렷한 법률적 조항이 없다는 것이다.
시와 교육청은 다른 법령을 준용해 보조금을 지원해도 되는지 관련 부처에 유권해석을 요청하는 등 구제 대책을 추진 중이다.
외국인학교는 당초 양산동 옛 근로청소년복지회관에서 미인가 시설로 문을 열었다. 시교육청에서 외국인 교육시설로 정식 인가를 받은 후 외국인 교육기반 확충 차원에서 총 86억원을 들여 첨단지구로 신축·이전해 운영됐다.
시는 외국기업 종사자 자녀교육과 글로벌 기업 유치에 필요한 이 학교 건물 신축·이전 때 21억5000만원을 시 예산에서 지원한 바 있다. 당시 외국인 투자 촉진을 위한 시설 지원이 가능하다는 법 규정이 적용돼 국비도 21억5000만원이 별도 지원됐다.
시는 학교 측이 자체적으로 폐교를 추진한 지난해에도 교육 협력사업비 명목으로 2억원을 지원했으며 시유지를 운동장 등으로 무상으로 사용하도록 허용하고 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국제적 도시로 도약하려면 외국인 거주여건을 가름하는 외국인 전담학교가 필요하다”며 “코로나19 종식 이후 활성화될 국제교류, 한전공대 개교에 따른 외국 연구인력 유입에 대비해 지원대책을 여러모로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