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노동자(징용 등) 배상 판결과 관련해 피고인 일본 기업의 자산 매각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견해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일본 유력 매체가 주장했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12일 사설에서 윤 당선인이 징용 및 위안부 등 역사 문제와 안보·경제 관련 한일 현안의 포괄적 해결을 공약한 것을 언급하며 “일본 정부가 가장 경계하는 것은 (한국 법원에서) 배상 명령을 받은 일본 기업 자산의 현금화 조치”라고 했다.
이어 “윤 당선인은 우선 현금화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새 정부의 생각을 명시해야 한다”며 “아울러 일본 정부와의 새로운 교섭 태세를 서둘러 정비해줬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아사히는 “일본 정부에서도 (한국과의) 대화를 쇄신하기 위한 유연성이 요구된다”며 “한국의 정권 교체를 대립의 종지부로 찍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간 일본 정부는 한일 역사 갈등 현안에 대해 ‘일본 측이 수용할 수 있는 해결책을 한국 측이 제시해야 한다’는 경직된 자세를 고수해왔다. 일본 정부 대변인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은 지난 10일 열린 정례 기자회견에서 “한일 관계를 건전하게 되돌릴 수 있도록 일본의 일관된 입장에 근거해 한국 측에 적절한 대응을 요구해 나간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아사히신문은 또 윤 당선인의 대북 정책에 대해 “강경 일변도로는 긴장을 고조하는 결과만 초래한다는 과거의 교훈을 배워야 한다”며 유연성 있는 대응을 강조했다.
도쿄신문 역시 이날 사설을 통해 “한일 양국 간에는 징용 및 위안부 등 역사 문제로 정상 간 의사소통이 마음대로 안 되는 상황이 오래 지속됐다”며 “(한국에서의) 정권 교체는 관계 개선의 호기”라고 보도했다.
도쿄신문은 “기시다 후미오 총리에게는 원칙을 중시하면서도 유연한 외교 자세로 (한국의) 새 대통령과 마주할 것을 요구하고 싶다”고 했다.
윤 당선인의 대북 정책에 대해서는 “북한에는 힘으로 대항할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대화를 기조로 삼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지난 10일 윤 당선인의 당선에 환영의 뜻을 밝히며 한일관계에 대해 “지역과 세계의 평화와 안정, 번영에서 건전한 한일 관계는 불가결하다”면서 “1965년 국교정상화 이후 쌓아온 한일 우호 협력 관계를 기반으로 한일 관계를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주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