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안 ‘도시락 회동’…인수위는 7개 분과로 구성

입력 2022-03-11 17:04 수정 2022-03-11 17:05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1일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 만나 ‘통합’과 ‘소통’이 국정 운영의 기본 방향이 돼야 한다는 데에 의견을 같이 했다. 양측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위원장 인선 등 인사 문제는 논의하지 않았다고 밝혔지만, 인수위원장과 부위원장 등 주요 보직에 대한 교감은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윤 당선인은 이날 안 대표와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만나 2시간 동안 ‘도시락 오찬’을 함께 했다. 이들은 향후 국정 방향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나눴으나 구체적인 인수위 인사는 논의는 하지 않았다고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이 밝혔다. 김 대변인은 서면을 통해 “향후 국정은 통합과 소통, 두가지 키워드가 가장 중요하다는데 의견을 일치시키고, 앞으로도 만남의 기회를 자주 마련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안 대표는 오찬이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국정 전반 현안에 대해서 논의를 했다”며 “굉장히 많은 부분의 (의견) 일치를 봤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우리나라가 처해 있는 상황이라든지, 복원해야 될 그런 민주주의에 대한 부분, 또는 경제 문제 그리고 데이터 산업, 이런 부분들을 포함해 거의 모든 분야에 대해 서로 의견 교환을 했다”고 말했다.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은 “인수위원장과 부위원장은 발표를 좀 당기려고 한다"며 "국민이 너무 궁금해하고, 또 인수위가 빨리 안정적으로 출범해야 새로운 내각이나 대통령실 구성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인수위’는 관련 법에 따라 역대 인수위와 마찬가지로 인수위원장 1명, 부위원장 1명, 인수위원 24명으로 구성된다.

인수위원이나 인수위 대변인 등 인선에 대해서는 향후 결정될 인수위원장과 논의해서 내주 순차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장 실장은 말했다.

인수위는 7개 분과로 구성될 계획이다. 7개 분과는 기획조정, 외교·안보, 정무사법행정, 경제1(경제정책·거시경제·금융), 경제2(산업·일자리), 과학기술교육, 사회복지문화 등이다.

김 대변인은 이날 당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인수위 구성안을 밝혔다.

당선인 직속으로는 국민통합특별위원회가 마련된다. 대선 공약이었던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담당하는 청와대 개혁 태스크포스(TF)도 별도로 꾸려진다. 또 마찬가지로 대선 공약이었던 코로나 긴급구조플랜 등을 담당할 코로나19 비상 대응 TF도 별도로 마련될 예정이다.

윤 당선인은 이날 안 대표와의 오찬에 앞서 대통령 집무실(청와대) 이전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과 면담을 가졌다.

윤 당선인은 북악산 기슭의 청와대를 비우고 집무실을 서울 정부종합청사로 옮겨 ‘광화문 시대’를 연다는 공약을 내건 바 있다.

김 대변인은 “(전 장관과의 면담에서는) 대통령직 인수와 관련한 행정적 절차 등 인수인계와 관련한 사항이 안내됐을 것”이라며 “아직 대통령실 인사 규모가 추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집무실이 어디에 이전될지에 대해서는 정해진 바가 없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을 분야별 민관합동위원위원회로 전면 개편하는 방안에 대해서 김 대변인은 “민간의 참여와 아이디어를 국정 운영에 반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며 “당연히 민관합동위원회도 정부종합청사 내에 함께 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당선인의 인수위 집무실은 종로구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삼청동 금융연수원 건물에도 인수위가 입주한다.

이가현 문동성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