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오미크론 유행 곡선이 열흘 안에 정점에 오를 전망이다. 이후의 양상이 불투명한 가운데 정부는 다음 주부터 신속항원검사 양성을 확진으로 인정하고 일반 병상에서도 확진자를 치료한다는 방침이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1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임기를 마치는 날까지 방역에 공백이 없도록 저와 모든 공직자가 최선을 다하겠다”며 이처럼 밝혔다. 김 총리는 앞서 지난 3일 코로나19에 확진돼 전날까지 재택치료를 받았다.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28만2987명으로 전날보다 4만5000명 가까이 줄었다. 김 총리는 “여러 연구팀 예측에 따르면 앞으로 열흘 정도 안에 (유행이) 정점을 맞을 것”이라며 “최대 주간 평균 37만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의료체계 붕괴를 막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꼽는다. 폭증한 확진자 수가 오미크론의 낮은 중증화율을 상쇄한 상황에서 병상 부족 사태까지 빚어진다면 인명 피해는 기하급수적으로 늘 수 있기 때문이다. 이날 중증환자 전담 병상 가동률은 61.5%로 집계됐다. 신규 사망자는 229명으로 사상 최다를 경신했고, 위중증 환자 역시 1116명으로 지난해 12월 29일 기록한 최다에 근접했다.
정부는 병상 효율화 차원에서 코로나19 치료가 끝난 확진자의 전원·전실을 적극 권고하는 한편 음압 격리실이 아닌 일반 병상에서도 확진자를 볼 수 있게 할 방침이다. 김 총리는 “분석 결과 입원 중인 코로나 환자 4명 중 3명은 코로나가 아니라 다른 기저질환 때문에 감염병 전담병상을 사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검사체계도 손질한다. 유전자증폭(PCR)검사 역량이 한계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방역 당국은 기존에는 정확도가 높은 PCR검사 양성만을 공식적인 확진으로 간주했으나 다음 주부터는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결과 또한 인정할 계획이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