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수사 뒤 좌천된 ‘尹 사단’ 화려한 귀환?

입력 2022-03-10 18:20
한동훈 검사장이 지난 1월 27일 서울서부지방법원에서 열리는 재판에 출석하며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자 조국 수사 이후 좌천됐던 ‘윤석열 사단’의 복귀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일부 검사들에 대한 ‘인사 정상화’는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있지만 인사 내용에 따라 또다른 편향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 검찰 간부는 10일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수사로 좌천되고 부당하게 불이익을 받았던 검사들에 대해 최소한의 명예회복은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인사가 한동훈 검사장이다. 한 검사장은 윤 당선인이 서울중앙지검장, 검찰총장이던 시절 함께 근무하며 승진 가도를 달렸다. 하지만 2019년 9월 조국 사태가 불거지고 2020년 1월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취임하면서 지방으로 전전했다.

다른 ‘윤석열 라인’ 검사들도 정도는 다르지만 비슷한 길을 걸었다. 서울중앙지검 1·2차장검사로 일했던 이두봉·박찬호 검사장, 울산시장 선거개입·조국 일가 의혹 수사를 챙겼던 신봉수·송경호 검사 등이다.

이처럼 한직으로 밀려난 검사들은 윤 당선인 취임 이후 검찰 인사에서 주요 보직으로 이동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윤 당선인은 후보 시절 언론 인터뷰에서 한 검사장과 관련해 “이 정권에서 피해를 많이 보았기 때문에 서울중앙지검장을 하면 안 되는 것이냐”며 중용 가능성을 내비쳤다. 한 검사장도 본보 인터뷰에서 “검찰에서 아직 할 일이 남아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오수 검찰총장의 거취도 관심사다. 총장 임기는 2년이라 김 총장의 임기는 1년 넘게 남았다. 하지만 새 정부에서 검찰조직을 지휘하기 어렵다고 판단해 스스로 물러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선거 다음 날 정부가 출범한 지난 대선에선 김수남 검찰총장이 선거 이틀 후 사의를 표명했다.

다만 검찰 인사가 윤 당선인 측근을 중심으로 이뤄질 경우 또다시 ‘보복 인사’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 윤 당선인이 서울중앙지검장, 검찰총장으로 있을 때 검찰 내부에선 그의 인사에 대한 곱지 않은 시각도 존재했다. 윤 당선인이 검찰의 독립성 강화를 강조한 만큼 스스로 인사 편향성을 조심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방의 한 검찰 고위 관계자는 “필요 이상으로 비정상적 처우를 받았던 검사들의 인사를 정상화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면서도 “당선인이 선언했던 검찰 독립성 보장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비판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검찰 간부도 “본래 실력이 있었던 이들이 제자리를 찾는 것이 필요하지만 측근이란 이유만으로 인사가 이뤄지는 건 조심해야 할 부분”이라고 했다.

임주언 조민아 기자 e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