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윤 총장’에 자리 넘기는 문 대통령, 남은 과제는?

입력 2022-03-10 05:49 수정 2022-03-10 10:37
윤석열 제20대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2019년 7월 25일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신임 검찰총장 임명장을 받는 모습.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향후 남은 두 달의 임기 동안 10일 20대 대선에 최종 당선한 윤석열 국민의힘 대통령 당선인에게 국내외로 산적한 국정 과제를 인수인계하는 데 초점을 둘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2019년 7월 25일 윤 당선인을 향해 ‘우리 신임 윤석열 총장’이라고 칭하며 검찰총장 임명장을 수여했다. 그로부터 2년7개월 만에 윤 당선인은 검찰총장에서 대통령 당선인으로 신분이 달라졌다.

당시 문 대통령은 “검찰총장 인사에 국민들의 관심이 크게 모인 적은 아마 역사상 없지 않았을까 싶다”며 “그만큼 국민들 사이에 검찰의 변화에 대한 요구가 크고, 그만큼 ‘우리 신임 윤석열 총장’에 대한 기대가 더 높다는 뜻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향후 문 대통령은 ‘마지막 두 달’의 임기 동안 코로나19 대응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국내외에 엄중한 과제가 산적한 만큼 현안에 집중할 전망이다. 그와 동시에 인수위원회를 꾸리는 새 정부에 핵심 분야 업무를 인수·인계하는 데 힘쓸 것으로 예상된다.

윤석열 제20대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2019년 7월 25일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신임 검찰총장 임명장을 받은 뒤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아직 안 끝난 코로나, 새 정부에도 핵심 과제
문 대통령의 남은 과제 중 가장 중요한 사안으로는 역시 코로나19 방역 대응이 꼽힌다. 최근 신규 확진자는 일일 30만명을 넘어섰고 누적 확진자는 500만명대를 돌파했다. 오미크론의 확산세가 좀처럼 잡히지 않는 상황은 새 정부가 곧 맞닥뜨릴 주요 해결과제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현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 획진자 발생 추이에 따른 대응 등에 있어 새 정부 인수위와 긴밀한 논의를 가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 상황 관리는 현 정부가 주도권을 쥐고 있지만 새 정부 방침을 감안하지 않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윤 당선인의 경우 후보 시절 ‘(식당·카페 등의) 24시간 영업’ ‘방역패스 완전 철폐’ 등을 현 정부 방침과는 결을 달리하는 내용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아울러 영업제한으로 인한 자영업자들의 영업 피해가 한계치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조만간 거리두기를 더 풀어주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는 20일까지 ‘사적모임 인원 6명·식당 및 카페 영업 오후 11시’ 지침을 적용하고 있다. 인수위와 논의 상황에 따라 20일이 되기 전에도 일부 완화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앞서 문 대통령도 지난달 21일 거리두기 조정 문제와 관련해 “상황에 따라 언제든 유연하게 (거리두기를) 조정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8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영상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거리두기 문제에 더해 소상공인·자영업자 손실 보상 문제, 개학을 맞이한 각급 학교의 학사일정 관리 문제 등도 정부의 주된 과제로 떠오른 상태다.

北 무력시위·우크라 침공… 외교안보 과제 산적
외교안보 정책의 전환에도 관심이 쏠린다. 문 대통령의 임기 말에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와 북한의 연이은 무력 시위 등 굵직한 이슈가 터지면서 한반도 안보정세는 격동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남은 임기 동안에도 외교안보 문제에 빈틈없이 대응하면서 향후 결을 달리할 인수위에 과업을 넘겨줘야 할 숙제를 끌어안게 됐다.

문 대통령이 임기 내내 추진해왔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경우 당장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문 대통령은 그간 한반도 문제에 있어 한국 정부의 ‘운전자’론을 강조해 왔다. 한국이 주체로 북한과 미국 간의 대화를 적극 이끌어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윤 당선인은 그와 달리 한국의 대북 강경책을 내세우며 결을 달리해 왔다.

문 대통령은 임기 마지막까지 조건 없는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을 거론해 왔지만, 이도 남은 임기 동안에는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달 연합뉴스 및 AFP, AP, EFE, 교도통신, 로이터, 타스, 신화통신 등 세계 7대 통신사와 합동으로 진행한 서면 인터뷰에서 “정상회담의 선결조건은 없다. 북한이 원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면서도 “선거 결과로 회담을 갖기 부적절한 상황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8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영상 국무회의에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미국 중심의 대(對)러시아 규제 동참, 러시아의 반발에 대한 대응 등도 만만찮은 과제다. 문 대통령은 이런 이슈들에 대해서도 윤 당선인과 충분한 소통을 하며 새 정부의 입장을 최대한 반영해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지난 8일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급변하는 국제질서 속의 외교와 안보에 대해서는 대선이 끝나면 당선자 측과도 잘 협력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한 바 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