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0일 오전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대선 승리를 축하할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 내부 참모회의를 마치고 이번 대선과 관련한 대국민 메시지를 낼 방침이다. 이후 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도 윤 당선인을 찾아 대통령 명의의 축하난을 직접 전달한다.
청와대 내부에선 윤 당선인의 승리에 대한 당혹감도 감지된다.
윤 당선인은 지난달 9일 언론 인터뷰에서 ‘집권 시 문재인정부 적폐 청산 수사’를 언급해 청와대와 마찰을 빚었다.
문 대통령은 곧바로 윤 당선인을 겨냥해 “근거 없이 현 정부를 적폐 수사의 대상, 불법으로 몬 것에 대해 강력한 분노를 표하며 사과를 요구한다”고 맹공했다.
현직 대통령이 선거를 앞두고 제1야당 대선 후보를 원색 비판한 것은 이례적이다. 윤 당선인의 발언이 임기 내내 권력기관 개혁을 추진해온 문 대통령의 ‘역린’을 건드렸다는 분석이 나왔다.
그만큼 문 대통령 입장에선 윤 당선인의 청와대 입성이 껄끄러울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두 사람의 악연도 다시 회자된다.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 모두 사법고시 출신이다. 그러나 11년이나 차이가 나는 탓에 직접 연을 맺을 기회는 없었다.
윤 당선인은 2013년 4월 국가정보원 댓글조작 의혹 사건의 특별수사팀장을 맡으면서 문 대통령과 인연을 맺었다. 윤 당선인은 이명박정부가 국정원 등을 통해 2012년 18대 대선에 개입했다는 의혹 수사를 진두지휘했다.
그해 10월 조영곤 당시 서울중앙지검장은 윤 당선인을 직무에서 배제했다. 상부에 보고하지 않고 국정원 직원에 대한 체포영장을 청구했다는 이유 때문이다.
당시 민주당 의원이었던 문 대통령은 “검찰 수사에 가해지는 부당한 외압은 중단돼야 하고 진실이 반드시 규명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윤 당선인을 옹호했다.
문 대통령은 2017년 5월 대선에서 승리한 이후 윤 당선인을 서울중앙지검장으로 발탁했다. 윤 당선인은 문 대통령의 전폭적인 신뢰 속에 2019년 7월 검찰총장에 취임했다.
두 사람은 2019년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임명을 기점으로 갈등을 빚게 된다. 조 전 장관의 인사청문회가 열리던 날 검찰은 조 전 장관의 부인인 정경심 동양대 교수를 전격 기소했다.
조 전 장관 후임으로 추미애 전 장관이 취임한 뒤엔 이른바 ‘추·윤’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윤 당선인은 추 전 장관과 신경전을 벌이면서 야권의 유력 대선주자로 급부상했다.
문 대통령은 윤 당선인의 대선 출마 가능성에 선을 그어왔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신년 기자회견에서 윤 당선인을 향해 “문재인 정부의 검찰총장이다. 정치를 할 생각을 하면서 총장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윤 당선인은 대통령의 기대와 달리 지난해 3월 검찰총장직을 사퇴했다. 그는 “이 나라를 지탱해 온 헌법 정신과 법치 시스템이 파괴되고 있다”며 현 정부를 정면 겨냥했다. 이후 3개월 만에 대선 출마를 공식화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