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10일 오전 윤석열 당선인과 통화할 듯…‘악연’도 눈길

입력 2022-03-10 02:28 수정 2022-03-10 03:53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당선인.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오전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대선 승리를 축하할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 내부 참모회의를 마치고 이번 대선과 관련한 대국민 메시지를 낼 방침이다. 이후 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도 윤 당선인을 찾아 대통령 명의의 축하난을 직접 전달한다.

청와대 내부에선 윤 당선인의 승리에 대한 당혹감도 감지된다.

윤 당선인은 지난달 9일 언론 인터뷰에서 ‘집권 시 문재인정부 적폐 청산 수사’를 언급해 청와대와 마찰을 빚었다.

문 대통령은 곧바로 윤 당선인을 겨냥해 “근거 없이 현 정부를 적폐 수사의 대상, 불법으로 몬 것에 대해 강력한 분노를 표하며 사과를 요구한다”고 맹공했다.

현직 대통령이 선거를 앞두고 제1야당 대선 후보를 원색 비판한 것은 이례적이다. 윤 당선인의 발언이 임기 내내 권력기관 개혁을 추진해온 문 대통령의 ‘역린’을 건드렸다는 분석이 나왔다.

그만큼 문 대통령 입장에선 윤 당선인의 청와대 입성이 껄끄러울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두 사람의 악연도 다시 회자된다.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 모두 사법고시 출신이다. 그러나 11년이나 차이가 나는 탓에 직접 연을 맺을 기회는 없었다.

윤 당선인은 2013년 4월 국가정보원 댓글조작 의혹 사건의 특별수사팀장을 맡으면서 문 대통령과 인연을 맺었다. 윤 당선인은 이명박정부가 국정원 등을 통해 2012년 18대 대선에 개입했다는 의혹 수사를 진두지휘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019년 11월 8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공정사회를 향한 반부패정책협의회에 참석해 윤석열 당선인(전 검찰총장)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뉴시스

그해 10월 조영곤 당시 서울중앙지검장은 윤 당선인을 직무에서 배제했다. 상부에 보고하지 않고 국정원 직원에 대한 체포영장을 청구했다는 이유 때문이다.

당시 민주당 의원이었던 문 대통령은 “검찰 수사에 가해지는 부당한 외압은 중단돼야 하고 진실이 반드시 규명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윤 당선인을 옹호했다.

문 대통령은 2017년 5월 대선에서 승리한 이후 윤 당선인을 서울중앙지검장으로 발탁했다. 윤 당선인은 문 대통령의 전폭적인 신뢰 속에 2019년 7월 검찰총장에 취임했다.

두 사람은 2019년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임명을 기점으로 갈등을 빚게 된다. 조 전 장관의 인사청문회가 열리던 날 검찰은 조 전 장관의 부인인 정경심 동양대 교수를 전격 기소했다.

조 전 장관 후임으로 추미애 전 장관이 취임한 뒤엔 이른바 ‘추·윤’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윤 당선인은 추 전 장관과 신경전을 벌이면서 야권의 유력 대선주자로 급부상했다.

문 대통령은 윤 당선인의 대선 출마 가능성에 선을 그어왔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신년 기자회견에서 윤 당선인을 향해 “문재인 정부의 검찰총장이다. 정치를 할 생각을 하면서 총장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윤 당선인은 대통령의 기대와 달리 지난해 3월 검찰총장직을 사퇴했다. 그는 “이 나라를 지탱해 온 헌법 정신과 법치 시스템이 파괴되고 있다”며 현 정부를 정면 겨냥했다. 이후 3개월 만에 대선 출마를 공식화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