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4만명을 넘어서며 방역 당국의 예상보다 더 빠르게 정점 수준에 도달하면서 방역 당국의 검사 역량이 한계에 이르고 있다. 이에 동네 병∙의원에서 받는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올 경우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하지 않아도 최종 양성으로 인정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9일 방역 당국에 따르면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지난 7일 브리핑에서 “현재 검사 양성률이 많이 올라갔고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의 위양성률이 낮기 때문에 신속한 진단∙치료를 위해서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양성으로 감염병 환자를 분류하는 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방역 당국은 이번 주 안에 진단∙검사 체계 개편안을 협의해 시행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빠르면 오는 14일부터 새 진단∙검사 체계가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확진자가 급증하며 PCR 검사량 부담이 늘면서 방역 당국 진단·검사 체계를 바꾸게 된 것이다.
실제 지난달 28일 역대 가장 많은 106만 8586건의 검사가 진행됐다. 방역당국이 밝힌 하루 최대 검사 가능 건수 85만건을 훌쩍 뛰어넘은 것이다. 지난 3일과 4일 검사 건수도 85만건을 넘었다.
PCR 검사 양성률이 높아지면서 검사의 효율성이 떨어진 것도 또 다른 이유다.
현재는 여러 개의 무증상자 검체를 모아 한 번에 검사하는 ‘풀링’ 검사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에 따르면 하나라도 양성이 나올 시 모든 검체를 일일이 다시 분석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양성률이 낮을 때는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현재처럼 확진자가 많은 상황에서는 효율적이지 못한 것이다.
방역 당국은 우선 오는 10일부터 해외 입국자에 대한 PCR 검사 횟수를 1회로 줄이는 등 일부 개편된 진단∙검사 체계를 시행할 예정이다.
해외 입국자는 입국 첫날에만 PCR 검사를 받고 6~7일 차 검사는 신속항원검사로 대체된다. 요양병원∙시설 등 감염 취약시설 종사자도 4차 접종 후 2주가 지나면 ‘주 2회 PCR 검사 의무가 사라지며, 입대 후 1∙8일 차에 PCR 검사를 받던 입영 장병도 ‘입대 전 1회’ 검사로 축소된다.
노혜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