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대덕특구 출연연·대학 등에서 개발한 공공기술의 실증 및 사업화를 지원하는 ‘대전형 융합신산업 창출 특구기술 실증 선도사업’을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대전과학산업진흥원(DISTEP)이 주관하며 실증사업 사전기획 및 실증 지원, 대덕특구 기술 기반 실증사업 등에 50억원이 투입된다.
사업은 1차 사전기획과제를 통해 12개 과제를 도출하고, 2차 선정과정을 거쳐 실증사업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사전기획과제에 선정되면 과제당 2000만원을 지급한다. 사전기획단계가 마무리되면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가 4개의 실증사업을 선정하고 각 10억여원의 실증비용을 지원한다.
지원 대상은 대전에 주소지를 둔 기업 대학교 출연연 등이며 컨소시엄(1개 기관 이상 참여 필수)을 구성해 사업에 참여해야 한다.
신청 접수는 10일부터 다음달 8일까지 DISTEP 홈페이지를 통해 진행된다. 선정 결과는 개별 통보한다.
시는 기술 가치평가 및 비즈니스 모델 수립, 투자, 디자인 등 분야별 전문가 위원회를 구성해 사업화 전 과정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대덕특구는 매년 정부·민간까지 약 8조원이 넘는 연구개발(R&D)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지난해에는 출연연에서만 총 636건의 R&D 성과가 도출됐다.
정재용 대전시 과학산업국장은 “대덕특구의 다양한 성과와 기술을 지역 산업 발전으로 연계해 대전이 글로벌 혁신 클로스터로 재도약하고,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패권을 견인하는데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될 것”이라며 “실증사업의 발전 전략과 다양한 실증분야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발굴하겠다”고 강조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