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옥계와 동해 일대 산림을 잿더미로 만든 불길이 약 90시간에 걸친 사투 끝에 진화됐다.
산림 당국은 8일 오후 7시쯤 주불진화를 완료하고 잔불 진화와 뒷불감시 체제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5일 오전 1시8분쯤 불이 발생한 지 ‘89시간 52분’ 만이다.
이번 산불로 현재까지 강릉 1천900㏊, 동해 2천100㏊에 달하는 산림이 피해를 입었다. 여의도 면적(290㏊·윤중로 제방 안쪽 면적)과 비교하면 13배가 넘고, 축구장 면적(0.714㏊)과 비교하면 5602배에 달한다.
재산 피해도 컸다. 동해에선 주택 등 건물 130채가 전소되고, 53채가 일부 불에 타는 피해를 입었다. 강릉에서는 주택 10채가 전소되고 4채가 일부 탔다.
이재민은 동해와 강릉에서 110명과 6명 등 116명이 발생했다.
이번 산불은 주민들에 앙심을 품은 60대 남성의 방화로 시작됐다.
이번 산불 진화를 위해 나흘간 헬기 106대가 투입됐고, 인력은 1만1000여명이 투입됐다.
산림 당국은 재산피해와 산불피해에 대한 정확한 현장 조사를 거쳐 피해지원과 산림피해복구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당국은 또 잔불 진화와 뒷불감시를 위해 책임 구역을 지정하고, 헬기와 인력을 투입해 더는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방침이다.
이런 가운데 삼척 산불은 이날 일몰까지 주불진화에 이르지 못한 채 야간진화체제에 들어갔다.
산림 당국은 인력 100여명을 투입해 방어선을 구축했다. 계속된 밤샘 진화에 피로도가 누적된 특수진화대원들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일몰 후 귀소했다.
삼척에서는 현재까지 산림 650㏊가 탔다. 주택 3채와 군 소초, 탄약고가 모두 탔고 원덕읍 고포마을회관 1층도 일부 소실됐다. 이재민은 1세대 2명이 발생했다.
산림 당국은 9일 날이 밝는 대로 동원 가능한 헬기와 진화인력을 총동원해 주불을 잡는다는 계획이다.
안명진 기자 a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