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대선에서 가장 강력한 바람은 50%를 넘나드는 정권교체 요구였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이 구도를 깨기 위해 인물론을 들고 나왔다.
‘유능한 경제대통령’이라는 슬로건에는 이 후보의 행정 능력을 극대화하고, 동시에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정치·행정 경험 부족을 부각시키려고 했던 이 후보 측 의도가 집약돼 있다.
반면 윤 후보 측은 정권교체 열기를 최고조로 올려놓기 위해 전력을 쏟아부었다. ‘공정과 상식의 회복’이라는 캐치프레이즈는 문재인정부와 172석의 거대 여당을 정면으로 겨눴다.
전문가들은 두 후보의 선거운동 전략이 이미 결집한 양 진영을 더 단단하게 만드는 데는 효과가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또 두 후보의 전략 모두 약점을 안고 있었다고 평가했다.
이재묵 한국외국어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8일 “두 후보의 메시지는 그 얘기를 받아들이는 양 진영 지지층에만 수용이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권 지지층은 윤 후보의 정권교체론을 받아들일 수가 없었고, 반면, 정권교체 지지층은 이 후보의 ‘유능한 경제대통령’ 슬로건에 동의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김형준 명지대 인문교양학부 교수는 “이 후보는 위기에 강하다는 점을 내세웠는데, 그 위기를 만든 집권여당의 후보가 위기를 극복한다는 얘기에 사람들이 정서적 일체감을 느끼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또 “기업인 출신의 이명박 전 대통령은 ‘이명박=경제대통령’이란 이미지와 연결이 되는데, 기업인이나 경제관료 출신이 아닌 이 후보가 ‘경제대통령’이라는 슬로건을 들고나온 것은 잘 와닿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최창렬 용인대 교양학부 교수는 “윤 후보는 지나치게 정권교체론에만 집중하는 단조로운 전략을 구사했다”며 “정권교체 외에 무엇을 하겠다는 건지 찾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
윤 후보가 정권교체를 강조하기 위해 수위 높은 발언을 자주 했던 것은 정치보복을 연상시킨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이런 점을 의식해 두 후보는 메시지를 보완하는 데 주력했다.
이 후보는 정치개혁 의제를 정권교체의 대항마로 내세웠다. 통합정부와 국민내각 구성, 다당제 실현을 위한 연동형비례대표제 도입, 위성정당 폐지, 결선투표제 도입 등 가능한 모든 수를 쏟아냈다.
이 후보는 또 성남시장, 경기지사 시절 기업유치 실적 등을 내세우며 ‘경제대통령’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해 애썼다.
특히 부동산 문제 등에 있어서는 문재인정부와의 차별화를 분명히 했다.
윤 후보는 정권교체 여론에만 편승한다는 비판을 불식시키기 위해 다양한 공약들을 내세웠다.
20대 남성 유권자들의 표심을 얻는데 결정적이었던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이 대표적인 예다.
윤 후보는 또 문재인정부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원전 건설 재개, 청와대 해체 등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의 단일화는 정치적 경험 부족이라는 약점을 희석시키기도 했다.
그러나 중도층이 어느 후보에게 더 마음을 열었는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최진 대통령리더십 연구원장은 “중도층 유권자들이 투표일 직전까지도 누구를 뽑을지 결정을 못하고, 결국 투표함을 열어봐야 아는 이런 ‘민심 오리무중’ 현상은 처음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정현수 이가현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