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치료 확진자 행정기관 업무 마비 원성

입력 2022-03-08 13:45 수정 2022-03-08 14:55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유행으로 국내 일일 확진자수가 하루가 다르게 증가하면서 지자체의 사실상 업무 마비로 확진자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8일 지자체 등에 따르면 상당수 재택치료자들은 코로나19 확진자 재택치료센터나 보건당국과의 통화 연결이 워낙 어려워 제때 적절한 정보를 받기 힘들다는 호소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확진자 A씨(38)는 “격리해제를 하루 남겨두고 있지만 지자체와 통화 연결 자체가 어려워 답답하다”며 “인터넷에 떠도는 얘기나 지인들의 말을 의존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재택치료가 방치라는 말이 괜히 나오는 것이 아니었다는 생각이 든다”고 전했다.

확진자 급증으로 지자체가 지원하는 물품도 지연되고 있다. 청주시는 격리치료를 받는 만 0~5세(2016년 이후 출생자) 영·유아 자택으로 아이꿈키트를 지원하고 있다. 확진일부터 신청이 가능하다.

그러나 장난감 등으로 구성된 아이꿈키트 배송은 확진자 급증으로 최소 한 달 이상 지연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이꿈키트를 신청한 가정 상당수가 격리기간에 물품을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택치료 6일차인 B씨(41)는 “격리 첫날에 아이꿈키트 신청이 정상적으로 완료됐다는 안내를 받았지만 아직도 감감무소식”이라며 “신청자가 워낙 많아 한 달 후에나 배송이 가능하다는 답변만 들었다”고 말했다.

입원·격리자에게 주는 생활지원금도 바닥나 예산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청주시는 올해 확보한 생활지원금 예산 26억원 중 전날 기준 남은 돈은 2억4000만원이다. 코로나19 확산세를 볼 때 이마저 며칠 안 가 고갈될 가능성이 높다.

시는 정부나 충북도부터 교부받은 44억원을 ‘성립전예산’으로 편성한 뒤 오는 18일로 예정된 시의회 임시회를 통해 생활지원금 예산 8억9000만원을 추가 확보할 방침이다.

성립전예산은 용도가 정해진 국비·도비를 교부받았을 때 의회 승인을 받지 않고 미리 집행하는 예산이다.

청주시 관계자는 “확보한 예산만으로는 하루가 다르게 급증하는 확진자를 감당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생활지원비는 코로나19에 감염되거나 밀접접촉자로 격리돼 생업에 나서지 못할 경우 일정액을 정부와 지자체가 지원하는 것이다. 1인 가구의 경우 하루 3만4910원(월 최대 48만8800원), 2인은 5만9000원(82만6000원), 3인은 7만6140원(106만6000원)을 받게 된다. 격리기간 유급휴가 처리된 직장인과 해외 입국 격리자, 격리·방역수칙 위반자는 대상에서 제외된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