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격리자, 9일 오후 6시 이후 투표함에 기표용지 넣는다

입력 2022-03-07 17:55
5일 오후 경남 창원시 성산구 사파동주민센터 야외에 차려진 확진자용 기표소 앞에 사전투표사무원이 투표용지 임시 보관함을 들고 서 있다. 연합뉴스

3·9 대선 당일 코로나19 확진·격리자도 일반 유권자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기표용지를 직접 투표함에 넣는 방식으로 투표할 수 있게 됐다.

대신 이날 오후 6시 이후 모든 일반 유권자가 투표장에서 퇴장한 뒤에야 투표가 가능하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7일 노정희 선관위원장 주재로 긴급 전체 위원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의 확진·격리자 투표 방침을 확정했다.

지난 5일 실시된 확진·격리자 사전투표 당시 이들의 기표용지를 소쿠리나 박스·쇼핑백 등에 담았다가 투표사무원이 투표함에 넣는 이른바 ‘전달 투표’가 헌법상의 직접투표·비밀투표 원칙을 위배했다는 논란이 제기되자 투표 방식을 바꾼 것이다.

선관위에 따르면 확진·격리자는 9일 방역당국의 일시 외출 허가를 받아 오후 6시부터 오후 7시30분까지 본인의 주소지 관할 투표소에서 투표할 수 있다. 이때 일반 유권자가 이용했던 기표소에서 투표가 이뤄진다.

논란이 됐던 사전투표 당시에는 확진·격리자들이 별도 마련된 임시 기표소에서 투표했다.

오후 6시까지 일반 유권자의 투표가 끝나지 않을 경우 확진·격리자는 투표소 안팎의 별도 장소에서 대기하다 일반 유권자가 모두 퇴장한 후 투표할 수 있다.

선관위는 오후 7시30분까지 투표장에 도착한 확진·격리자의 투표권을 최대한 보장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투표 종료 시간은 9일 오후 8~9시 전후로 예상된다. 대선 개표가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선관위는 지난 5일 사전투표 때 투표용지를 발급 받은 뒤 대기 시간 증가 등의 이유로 투표를 하지 않고 돌아간 확진·격리자가 대선 당일 투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노정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이 제20대 대통령선거일을 이틀 앞둔 7일 오전 경기 과천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 출근하고 있다. 뉴시스

구윤철 국무조정실장은 이날 ‘선거지원 관계차관회의’를 주재하고 투표 당일 경찰 7만여명을 투입해 투표소 경비와 투표함 운송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구 실장은 “일반 유권자는 가급적 9일 오후 5시30분 전까지 투표소에 도착해 6시까지 투표를 마쳐달라”고 당부했다. 확진·격리자와 최대한 동선이 겹치지 않도록 해 달라는 것이다.

노 위원장을 비롯한 선관위원들은 이날 회의에서 “확진자 사전투표 규모를 예측하거나 대비하지 못했다”면서 “책임을 통감하며, 재발 방지 대책을 철저히 강구하겠다”며 재차 고개를 숙였다.

여야는 7일 사전투표 관리 부실에 대한 질타를 이어갔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총괄선대본부장은 “확실한 개선책을 내놓고 국민의 이해와 용서를 얻길 바란다”며 선관위를 겨냥했다.

권영세 국민의힘 선대본부장은 “이번 정권이 자유민주주의 원칙을 얼마나 가볍게 보고 있는지 여실히 보여주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여야 모두 ‘부정선거’ 논란에는 선을 긋고 있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간 초박빙 구도가 이어지면서 섣불리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했다 대선 이후 자기 발목을 잡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박세환 강보현 김영선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