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시간30분으로 충분할까…확진자 투표 혼잡 재현 우려도

입력 2022-03-07 17:11 수정 2022-03-07 17:16
지난 5일 광주 북구 운암1동 사전투표소에서 투표사무원들이 코로나19 확진·격리자 투표 절차를 진행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7일 본투표일에서는 코로나19 확진‧격리자도 비확진자 투표 종료 뒤 일반 투표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다만 확진자가 1시간30분 사이 대거 몰릴 경우 사전투표 때처럼 대기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선관위는 앞서 국회에서 확진자 규모와 소요 시간을 고려할 때 고려할 때 확진자 투표 시간은 1시간이면 충분하다는 입장을 밝혔었다.

7일 선관위에 따르면 오는 9일 확진‧격리자 투표는 오후 6시 이후부터 진행된다. 오후 7시30분 전까지 투표소에 도착하면 이후에도 투표가 가능하다.

당초 선관위는 본투표에서도 사전투표와 마찬가지로 선거인이 임시기표소에서 투표사무원에게 투표용지를 전달하는 식으로 선거를 진행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사전투표에서 이 같은 절차에 대한 유권자들의 반발이 거셌고, 현장의 혼잡 속에 기표된 투표용지가 다른 유권자에게 배부되는 사태까지 발생하면서 절차를 변경했다.

노정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이 7일 오전 중앙선관위에서 열린 사전투표 부실 관리 논란과 관련한 긴급위원회 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오는 9일 본투표에서 확진‧격리자는 일반 투표함에 직접 투표용지를 넣을 수 있다. 다만 비확진자 투표가 오후 6시 전에 종료되지 않을 경우 마지막 비확진자가 투표를 마칠 때까지 확진‧격리자가 별도 장소에서 대기해야 한다.

통상 오후 6시 전에 투표소에 도착하는 유권자들도 다수 있는 점을 고려하면 비확진자 투표가 빨라야 오후 6시30분 이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확진‧격리자가 대거 몰릴 경우 오후 7시30분 전에 투표소에 도착해도 장시간 대기해야 하고 결국 투표를 포기하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지난 5일 사전투표장에서는 확진자가 투표를 마치기까지 2시간이 넘게 소요되는 경우도 있었다.

김세환 선관위 사무총장은 지난달 9일 국회에서 투표소 별로 확진자가 최대 40명 정도 모일 것이라고 예측했었다. 이 경우 투표는 1시간이면 충분하다는 게 선관위 설명이었다. 하지만 국민의힘 이영 의원은 이에 대해 “계산이 맞지 않는다”며 “계산을 해보면 70명으로 나오고 2배로 확대하면 최대 140명이다. 서울‧경기 지역의 경우 한 투표소에 수백명이 몰릴 수도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었다.

지난 5일 오후 고양시 덕양구 삼송1동 주민센터 사전투표소에 투표하러 온 코로나19 확진 유권자들이 투표를 하기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만약 오는 9일 본투표에서 확진자의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등 혼잡이 발생할 경우 애초 확진자 투표시간을 3시간으로 늘렸어야 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재차 제기될 것으로 전망된다. 당초 여야는 투표시간을 3시간으로 늘리는 개정안을 통과시키기로 합의했었는데 선관위가 226억원의 추가 비용을 이유로 난색을 표해 1시간30분으로 조정됐었다. 국민의힘 김기현 원내대표는 이날 CBS라디오에서 “(확진자 투표를) 3시간 연장하면 그나마 낫겠다 해서 법안을 제출하고 추진했는데, 선관위가 현행 제도로 아무 문제가 없다고 반대를 했다”고 지적했다.

선관위는 오는 9일 본투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기 시간을 줄이기 위해 가능한 자원을 총동원하겠다는 입장이다. 선관위는 투표 관리 인력을 최대한 추가 확보하고 기표소 수도 최대치를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김재원 선관위 선거국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본투표 투표소는 거주지 주변으로 촘촘히 설치돼 있다. 사전투표소의 4배 가량이라 인원 분산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한 분이라도 더 빨리 투표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