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승부수… 200개 검사 마친 ‘출고 5년·10만km’ 중고차만 판매

입력 2022-03-07 16:35 수정 2022-03-07 17:06
현대자동차가 구축할 예정인 '중고차 통합 정보 포털'(가칭 '중고차 연구소') 콘셉트 이미지. 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가 5년 이내, 10만㎞ 미만의 ‘현대차 중고차’로만 중고차 시장에 진출한다. 중고차 시장의 최대 문제점으로 꼽히는 중고차 업자와 소비자 간의 ‘정보 비대칭’을 해소하기 위해 통합 포털 사이트도 구축할 예정이다.

현대차는 7일 중고차 사업 진출 방향을 공개했다. 현대차는 200여개 항목의 품질검사를 통과하고 신차 수준의 상품화 과정을 거친 인증중고차(CPO)를 시장에 내놓기로 했다. 인증중고차는 완성차 업체가 직접 성능을 정밀점검하고 수리를 거쳐 품질을 인증한 중고차다. 일반 중고차보다 가격은 비싸다.

이를 위해 인증중고차 전용 하이테크센터를 구축한다. 최첨단 스마트 장비를 갖춰 정밀진단, 정비, 내외관 개선 등을 전담하는 곳이다. 고객이 타던 차량을 매입해 신차 구매시 할인을 제공하는 보상판매(트레이드 인·Trade-in) 프로그램도 선보일 계획이다.

현대차는 중고차 시장의 고질적 병폐인 정보 비대칭을 해소해줄 중고차 통합 정보포털(가칭 ‘중고차 연구소’)도 구축한다. 다양한 출처의 중고차 관련 정보를 수집·분석해 누구나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시장 투명성을 높여 중고차 시장 전반의 양적·질적 성장을 돕는다는 취지다. 국토교통부, 보험개발원 등과 협의해 정부나 기관이 제공하는 차량 이력정보에 현대차가 보유한 정보를 결합한 ‘중고차 성능·상태 통합정보’도 제공한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기반의 가상전시장도 운영할 방침이다. 이 앱을 통해 상품검색, 비교, 견적, 계약, 출고, 배송까지 모든 과정을 원스톱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오프라인 전시장 수준의 실체감을 제공하기 위해 오감정보 서비스, 인공지능(AI) 컨시어지를 도입한다. 고객이 가상전시장에서 중고차를 계약하면 원하는 장소로 배송하는 것이다.

현대차는 기존 중고차 업계의 반발을 의식해 시장 진출 논의과정에서 마련했던 상생안을 준수하겠다고 강조했다. ‘5년·10만km 이내’의 현대차만 판매하고, 그 외 물량은 경매 등으로 기존 중고차 업자에게 공급한다. 시장 점유율은 올해 2.5%, 내년 3.6%, 2024년 5.1%을 넘지 않겠다고 자체적으로 제한했다.

현대차가 중고차 시장에 진출하면 차량 생산부터 판매, 소유자 교체, 부품 교체, 고장 수리이력에 이르기까지 완성차 생애주기 전반을 관통하는 데이터 관리를 할 수 있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현대차가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금융·보험, 운송, 정비 등의 분야에서 새로운 모빌리티 서비스를 개발·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대기업의 중고차 시장 진출 논의는 중고차 판매업의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 기한이 만료된 2019년 2월 본격화됐다. 3년을 기다린 현대차가 지난 1월 중고차 사업을 위해 필요한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선언하자, 중소벤처기업부는 곧바로 일시 정지 권고를 내렸다.

정부는 이달 중 심의위원회를 열고 중고차 판매업의 생계형 적합업종 지정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의 중고차 시장 진출이 소비자와 업계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는 이해를 돕기 위해 사업 추진방향을 공개했다. 전체적인 중고차 품질과 성능 수준을 향상시켜 시장 신뢰를 높이고, 중고차 산업의 외연이 확장될 수 있도록 기존 업계와 다양한 협력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