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 “확진자, 9일 오후 6시 이후 투표함에 직접 투표”

입력 2022-03-07 12:48 수정 2022-03-07 13:33
5일 오후 경남 창원시 성산구 사파동주민센터 야외에 차려진 확진자용 기표소에서 한 확진자가 한 표를 행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20대 대선 본투표일(9일)에는 코로나19 확진·격리자도 기표용지를 직접 투표함에 넣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선관위는 7일 오전 전체위원회의를 열고 “코로나19 확진 선거인의 사전투표에 많은 혼란과 불편을 드려 국민 여러분께 깊이 사과드린다”며 이같이 밝혔다.

확진·격리자들은 오후 6시 이후 일반 유권자가 모두 투표장에서 퇴장한 뒤에 투표를 하게 된다. 사전투표 당시 ‘전달 투표’로 혼란이 빚어졌다는 점을 고려, 같은 논란이 재발하는 것을 막기 위해 ‘용지 직접 투입’을 보장하는 동시에 확진·격리자와 일반 유권자의 동선은 분리하겠다는 게 선관위의 설명이다.

앞서 지난 4~5일 진행된 사전투표 때 확진·격리자 투표에서 총체적 부실이 드러나 논란이 됐다. 선거구별로 투표함을 1개만 둘 수 있게 한 공직선거관리법에 따라 이들을 위한 투표함을 별도 설치할 수 없자 이들이 기표한 투표용지를 선거사무원이 임시보관함에 담아 투표함으로 옮겼다. 이 과정에서 기표한 투표지를 선거구마다 바구니·쓰레기종량제봉투·종이가방 등 통일되지 않은 방법으로 보관·이동한 것이 드러나면서 관리 부실 논란이 제기됐다.

또 투표용지 뒷면에 선거인의 성명이 기재되거나 이미 기표된 투표지가 임시기표소 봉투에 들어있어 현장에선 선거인들의 항의도 이어졌다. 신분증을 제출하고 줄을 섰다가 부정선거 우려에 선거하지 않고 돌아선 유권자들도 있었다.

이에 임시기표소의 투표 절차와 방법을 제대로 안내하지 못한 선관위의 잘못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오미크론 확산세와 투표율 급증에도 적절히 대비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노정희 선관위원장이 혼선을 빚은 사전투표 당일 출근을 하지 않은 점도 공격 대상이 됐다. 노 위원장은 이날 과천 중앙선관위 출근길에서 “우선은 본 선거 대책 마련에 집중하겠다. 다른 말씀은 다음 기회에 드리겠다”며 사과나 별다른 입장 표명을 하지 않았다. 국민의힘 김기현 원내대표는 “대책을 세워야 할 선관위원장이라는 사람이 출근도 하지 않았다. 이 사람 제정신이냐”며 강하게 질타하기도 했다.

정부는 이날 오후 선거 지원을 위한 차관회의를 주재하고 부실투표 재발 방지 대책을 점검한다. 선관위 회의에서 확정된 운영 방침을 차질 없이 이행하기 위한 실무적인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