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염은 여성 10명 가운데 7~8명은 한번쯤 겪을 정도로 흔하다. 가려움과 동통, 질 분비물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재발도 잦은데, 이런 반복적 질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질내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군집)의 분포와 관련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산부인과 김민정 교수는 인천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승옥 교수, 서울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김명신 교수, 부천성모병원 임상의학연구소 권미연 책임연구원 등과 함께 40명의 재발성 질염 환자와 100명의 건강한 개인을 대상으로 질내 미생물군집 분석을 실시해 반복적인 질염의 병태 생리와 임상적 연관성을 밝혀냈다.
연구 결과 건강한 군에서는 좋은 균으로 알려진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crispatus)가 높게 측정됐고 재발성 질염 환자군에서는 균종이 다양하게 나오나 락토바실러스는 적었다.
또 부인과적 질환이 없는 군과 비교해 자궁 근종, 자궁선근증, 자궁내막 용종(혹) 등이 있는 경우 질내 마이크로바이옴에 변화가 있음을 확인했다.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척추동물에 서식하는 공생 및 병원성 모든 미생물의 게놈을 설명하는 용어다.
김민정 교수는 7일 “질 내 마이크로바이옴의 변화가 부인과적 질환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기에 이번 분석으로 질염 치료는 물론 부인과 질환 치료를 위한 적절한 치료 가이드라인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생물학 관련 과학기술논문색인확장판(SCIE) 학술지(Frontiers in Microbiology) 2월호에 발표됐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