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2년간 코로나 극단 격리…심리상태 영향” NYT

입력 2022-03-07 05:54 수정 2022-03-07 10:12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AP뉴시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게 된 데에는 그가 2년여의 코로나19 기간 극단적인 격리 상태에 놓였던 영향이 있었을 것이라는 미국 정보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5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미국 백악관의 대(對)러 제재 전략 수립은 푸틴 대통령의 심리 상태에 대한 미국 정보기관들의 재평가와 연관됐다.

즉, 푸틴 대통령의 야심과 위험 감수 성향이 2년간의 코로나19 격리에 따른 영향을 받은 것인지, 아니면 지금이 러시아의 영향력을 재구축할 적기라고 느꼈기 때문인지에 대한 논쟁이 오가고 있다는 것이다.

코로나19 대확산(팬데믹) 기간 러시아는 일상으로 되돌아갔음에도 푸틴 대통령 자신은 다른 나라의 정상들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예방 조치를 취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예컨대 그는 정부 관료들과 대부분 화상회의를 했고,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등 해외 고위 인사가 방문하더라도 푸틴 대통령을 직접 만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현재 푸틴 대통령은 방문객과 대면 접촉을 하고 있기는 하다. 단, 관저와 크렘린궁을 찾는 모든 방문객은 소독 터널을 통과해야 한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AP뉴시스

또 일부 국가 정상은 푸틴 대통령과 외교 회담에서 거대한 탁자를 사이에 두고 약 6.1m나 떨어져 앉기도 했다. 이들 정상은 자신의 DNA가 러시아 측에 넘어갈까봐 러시아 측의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푸틴 대통령의 이런 극단적인 경계심은 그가 69세로 코로나19에 취약한 고령층인 점이 반영된 측면도 있지만, 그가 구소련 정보기관 국가보안위원회(KGB)에서 근무했을 당시 생긴 편집증적 성향 때문이기도 하다고 매체는 설명했다.

미국 정보기관 관료들은 푸틴 대통령이 자충수를 뒀을 때 이런 경향이 더 강화된다면서, 그가 초기 러시아군이 저지른 실수를 만회하기 위해 우크라이나 도시를 무차별적으로 폭격하거나 미국 금융시스템을 상대로 사이버 공격을 감행하고 핵 위협을 더욱 고조시킬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